의학회·의대협회 정부 협의체 참여
의료계 협의체 동참 최초 사례
의협은 여전히 불참 입장 고수
의정 갈등 이후 처음으로 의사 단체가 여야와 정부를 중심으로 한 협의체에 참여한다. 대한의학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의대 입학 정원 논의, 의사 정원 추계 기구 입법화를 내세우며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여전히 불참하겠다는 뜻을 유지했다.
대한의학회와 의대협회는 22일 “하루라도 빨리 대한민국 의료가 정상화되기를 바라는 절박한 심정으로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에 대한 동의가 아닌, 정책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전문가의 책임감에서 비롯된 결정이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냈다.
이들 의사 단체는 줄곧 의대 입학 정원 증원 철회 없이는 정부가 포함된 협의체에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번에 처음으로 여야와 정부가 참여하는 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하면서 이 같은 이유를 밝혔다. 대한의학회는 전공의 수련 교육을, 의대협회는 의대 학생 교육을 담당하는 의사 단체다.
이들은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에 앞서 논의해야 할 주요 현안을 제시했다. △의대 학생 휴학계 대학 자율 허가 △2025년·2026년 의대 입학정원 논의 및 의사 정원 추계 기구 입법화 위한 시행계획과 로드맵 설정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독립성·자율성 확보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개편 등 5가지다.
여전히 의협은 여·야·의·정 협의체에는 참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의학회와 의대협회의 협의체 참여는 의정 갈등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일부이긴 하지만 의사 단체도 돌파구를 찾고 있다는 신호로 읽힌다. 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은 이날 학회 임원들에게 “전쟁 중에도 대화는 필요하다”면서 “부디 이번 결정을 통해 의정 사태 해결의 한 알의 밀알이 되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