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실패 책임·이재명 ‘헬기 특혜’ 논란 공방 치열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행안위 부산시·부산경찰청 국감

야당 엑스포 거론에 시·여당 방어
박 시장 “유치 과정 소득 폄하 안 돼”
헬기 이송 문제 지적하자 야당 항의
산은 부산 이전 책임엔 여야 팽팽
치안 불안·미온 대처 강한 질타도

22일 오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부산시에 대한 국정감사가 부산 연제구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22일 오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부산시에 대한 국정감사가 부산 연제구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3년 만에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부산시 국정감사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실패 책임을 놓고 치열한 공방이 이어졌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헬기 이송 특혜’ 논란에도 여야가 충돌했다.


22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열린 국감에서 야당 의원들은 정부와 부산시의 전략 실패를 지적하며 엑스포 무산 문제를 집중적으로 파고들었고, 시와 여당 의원들은 유치전 성과를 강조하며 방어했다. 민주당 박정현(대전 대덕구) 의원은 “유치에 실패할 수는 있지만, 정부 예산을 3700억 원이나 쓰고도 29표를 받은 것은 정부와 부산시가 국민과 부산 시민을 우롱한 것 아닌가하는 생각까지 든다”고 따져 물었다.

이에 박 시장은 “엑스포 유치 사업이 국가 사업화된 것은 문재인 정부 때였다”며 “하지만 아쉽게도 문재인 정부 마지막 1년 동안 저희가 유치 활동을 거의 안 했다. 그 1년 동안 사우디가 선점한 표가 100표 이상이었다”고 답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전 정부에 모든 것을 떠넘기면 안 된다”며 목소리를 높였고, 박 시장은 오일머니를 앞세운 사우디의 특수성을 감안해야 한다며 “엑스포 유치 과정이 아무런 의미나 소득이 없었던 것처럼 폄하돼서는 안 된다”고 맞받았다.

같은 당 이해식 의원(서울 강동을)은 “부산시가 엑스포 홍보비 330억 중 국내 매체에는 70억 3000만 원, 해외에는 48억 5000만 원을 지출했다”며 “국제박람회기구 투표로 결정되는데 왜 국내 홍보비를 더 많이 사용했는지 의문이 든다”고 따졌다. 박 시장은 “엑스포에 대한 국민들의 열기를 끌어 올리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균형 있게 집행됐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 책임론을 놓고도 여야의 설전이 이어졌다. 박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엑스포 유치 실패 직후 부산을 방문해 여러 약속을 했는데 1년이 지나도록 ‘뻥 약속’이 된 것 아니냐”며 그중 하나로 산은 이전을 거론했다. 이에 국민의힘 이성권(부산 사하갑) 의원은 “민주당이 찬성해서 법안만 고치면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오는데 아무런 걸림돌이 없다”면서 “이전이 불발되면 모든 책임도 민주당이 지게 된다”고 받아쳤다.

여당은 이재명 대표 ‘헬기 이송’ 논란으로 역공에 나섰다. 국민의힘 정동만(부산 기장) 의원은 “이재명 대표 사건처럼 부산소방재난본부의 타 기관 이송 요청 건수가 2023년 총 171건이었는데 권역외상센터에서 타 병원 헬기 이송된 경우는 단 3건뿐”이라며 “모두 처치 불가 또는 응급 이송 필요성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전원된 경우인데, 이 대표는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부산대병원을 거부하고, 서울을 고집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었고, 박 시장은 “우리 지역 의료에 대한 불신 내지는 이 대표 본인의 필요에 의해서 그렇게 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정 의원이 꼼수 전원을 막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자 “야당 대표가 테러를 당해서 목숨이 경각에 달한 상황을 그렇게 말해도 되느냐”는 야당 의원들의 항의가 터져 나왔다.

‘부산 민주주의 기념관’이 ‘YS(김영삼) 전 대통령 기념관’으로 바뀌게 된 이유와 정체성 문제, 박 시장의 엘시티 아파트 처분 약속 미이행, 시 산하 공공기관 요직 ‘보은 인사’ 등도 도마에 올랐다.

이날 행안위의 부산경찰청 대상 국감에서는 치안 불안과 교제폭력·살인에 대한 미온적 대응, 경찰 퇴직자들의 로펌 재취업 후 강력범죄자 변호 관행 등에 대한 대한 질책이 이어졌다.

민주당 모경종(인천 서구병) 의원은 “해운대구 유흥가에서 흉기 동원 집단 난투극이 벌어지는가 하면 경찰이 뇌물을 받고 조폭에 수사 정보를 넘겨 직위해제 되는 사건도 있었다”면서 “부산 인구는 서울 인구의 3분의 1 수준인데 조직폭력배 수는 별 차이가 없다. 조폭 도시 부산 이미지에 대해 부산청장은 더욱 무겁게 받아들이고 해결해 달라”고 주문했다.

민주당 김성회(경기 고양갑) 의원도 서면에서 있었던 조폭에 의한 시민 무차별 폭행 사건을 언급하며 조폭 관리를 위한 강화된 매뉴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수환 부산경찰청장은 “관리대상 조폭이 19개파, 426명인데 좀 더 보수적으로 관리하다보니 숫자가 많다”면서 “이런 일이 더 발생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