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특별감찰관' 여권 내홍에 해법찾기 고심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 안하면 정체성 흔드는 것" 한동훈 견제
친윤 세모으기 불구 결과 장담 못해…표대결할 경우 후유증 불가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견학 온 공군사관학교 4학년 생도들을 만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견학 온 공군사관학교 4학년 생도들을 만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건희 여사 문제 해법으로 제시한 ‘특별감찰관 추천’ 문제를 놓고 대통령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특별감찰관이 김 여사를 둘러싼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한데 여권 내 극심한 내홍을 불러올 수 있는 뇌관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한 대표가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과 별개로 특별감찰관을 추천하겠다고 하자 “북한 인권 문제는 당의 정체성과 연결된 문제”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여당 내 친윤(친윤석열)계도 야당이 그동안 추천하지 않았던 북한인권재단 이사 문제를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과 연계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다.

친윤계의 한 인사는 “특별감찰관과 함께 임명할 협상카드인 북한인권재단 이사를 스스로 포기하라는 요구는 자해적 발상”이라고 한 대표를 겨냥했다. 국민 여론이 특별감찰관을 추천해야 한다는 쪽으로 많이 기울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대표에게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이번주 의원총회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할 방침이지만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날지는 불투명하다. 친한(친한동훈)계가 여론을 내세워 특별감찰관 추천을 밀어부치고 있지만, 원내지도부를 장악하고 있는 친윤계의 반대로 전면전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만약 의총에서 양측이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사상 초유의 표 대결이 이뤄진다면 당의 내홍 사태는 한층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도 이같은 상황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뜩이나 당정 갈등으로 인한 비판이 거센 가운데 특별감찰관 문제로 인해 여당이 쪼개지면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극심한 후유증이 불가피한 표결을 피하기 위해 양 측이 극적인 타협을 이룰 가능성도 없지 않은 가운데 대통령실이 중재안을 제시할지도 주목된다.

특별감찰관은 대통령 배우자와 4촌 이내 친족, 수석비서관 이상 대통령실 공무원을 감찰하는 기구다. 박근혜 정부 때 도입됐으나, 초대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박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사퇴한 이후 문재인·윤석열 정부에서도 이를 임명하지 않은 채 8년째 공석이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