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담화’ 이후 ‘질서 있는 퇴진’ 굳힌 국힘…탄핵안·특검법 부결 ‘무게’
“임기 등 당에 일임” 윤 대통령 담화 내용 두고 해석 차 불구
한동훈 ‘2선 후퇴’로 수용한 듯…한 총리와 긴급회동 가져
탄핵안 ‘찬성’ 조경태도 “한 대표 따르겠다” ‘반대’로 급선회
국민의힘이 ‘비상계엄 사태’의 수습 방안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가 아닌, 윤 대통령의 2선 후퇴와 임기 단축 개헌 카드 등을 통한 ‘질서 있는 퇴진’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이에 친한(친한동훈계)계 조경태 의원도 당초 탄핵안 찬성 입장을 수정하는 등 2시간 앞으로 다가온 표결에 대한 입장도 ‘부결’ 쪽으로 쏠리는 양상이다.
한동훈 대표는 7일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나온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와 관련,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이 불가피하다”며 “앞으로 대한민국과 국민에게 최선인 방식을 논의하고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담화에서 “저의 임기 문제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한 대표 등을 비롯해 당 지도부에 자신의 거취 등 사태 수습의 주도권을 일임하겠다는 입장이라는 해석과 친윤(친윤석열)계의 지원을 받아 일단 탄핵을 피하면서 국정 운영에서 손을 떼지 않겠다는 의도라는 관측이 엇갈렸다.
한 대표 측은 일단 윤 대통령의 입장을 ‘2선 후퇴’ 의사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의 담화 이후 곧바로 한덕수 국무총리와 긴급회동을 갖고 1시간 20분 동안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악화한 민심과 국정 수습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는 한 총리에게 “민생 경제와 국정 상황에 대해 총리께서 더 세심하고 안정되게 챙겨주셔서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이에 한 총리는 “앞으로 당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민생 경제를 잘 챙기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2선으로 물러나고 책임 총리가 여당과 함께 국정을 운영하는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대통령 5년 단임제를 4년 중임제로 바꾸는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한 윤 대통령의 자연스러운 퇴진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2026년 6월 지방선거 때 대선을 함께 치르는 방안이 거론된 바 있다. 현직 대통령에게 개헌 사항이 적용되지 않더라도 윤 대통령의 퇴진을 통해 조기 대선을 치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일부 친윤계 의원들도 계엄 수습책으로 임기 단축 개헌을 제시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계엄 사태 수습 의지를 내비치면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발의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신동욱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대국민 담화 뒤 의원총회 논의 내용과 관련해 “저희 당 입장은 탄핵 부결”이라고 거듭 밝혔다. 한 대표가 이날 ‘조기 퇴진’을 거론한 것도 당장의 탄핵에 반대한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며, 전날 탄핵 찬성 공개 입장을 밝힌 친한계 조경태 의원도 윤 대통령의 담화 이후에는 “한 대표 뜻을 따르기로 했다”며 ‘반대’로 입장을 바꿨다.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이날 탄핵안에 앞서 표결하는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표결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친한계이자 당 법률자문위원장인 주진우 의원은 의원들에게 “민주당이 특검법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려는 의도가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반대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