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해상 운임 상승 예상”
대한상의 물류 시장 전망 분석
지정학적 변수에 압박 더 커져
내년 1월 미국의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해상 운송 수요 급증에 따른 큰 폭의 물류 운임 상승이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해상 운임이 오르면 해운사와 항공사는 실적 개선 효과를 누리지만, 대다수의 수출 기업들은 부담이 커지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2일 소속 물류위원회 주최로 ‘트럼프 2.0시대, 2025년 물류 시장 전망’ 세미나를 열었다. 트럼프 집권 2기 정책 변화에 따른 교역환경, 공급망 이슈 등을 점검하는 자리였는데, 미국 항만노조의 파업 가능성과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관세 인상 등이 예정돼 내년 상반기 해상 운임 상승이 예상된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미 트럼프 1기 당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세 차례 관세 인상을 단행했고 이에 따라 인위적으로 미국 수입 수요가 앞당겨지면서 운임 변동성이 심화하는 등 큰 혼란을 겪은 바 있다. 2기의 경우 그 강도가 더 심화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관세 부과와 항만노조 협상시한 만료에 앞서 제조업체들의 완제품 밀어내기 선적 증가로 운임의 추가 상승 여지도 크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홍해 사태 등 지정학적 변수로 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는 선박이 늘어나고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진 터라 수출 기업이 이중, 삼중의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조 강연을 맡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이성우 한미물류공급망센터장은 “트럼프 2기는 무역적자 해소, 제조업 육성, 중국 견제 등을 목표로 관세정책과 미국 내 법인세 감세정책 등을 강하게 밀어붙일 것”이라며 “강력한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은 단기적으로 물류창고, 트럭킹(화물운송), 라스트마일(배송) 분야에서 인력난과 임금 상승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