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중기 10곳 중 3곳 “비상계엄으로 피해 입었다”
중소기업중앙회, 수출 중기 513곳 대상 긴급 현황조사
향후 피해 볼 가능성 있다고 본 기업도 63.5% 달해
‘계약 지연, 감소 및 취소’가주요 피해로 가장 많이 꼽혀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은 비상계엄 사태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0∼13일 수출 중소기업 513곳(제조업 463곳, 비제조업 50곳)을 대상으로 긴급 현황조사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피해를 본 수출 중소기업은 응답기업의 26.3%로 집계됐다.
주요 피해 사례로 ‘계약 지연, 감소 및 취소’(47.4%)가 가장 많았으며, 해외 바이어 문의 전화 증가(23.7%), 수·발주 지연, 감소 및 취소( 23.0%), 고환율로 인한 문제 발생(22.2%) 등이 뒤를 이었다.
아직 피해는 없지만 향후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수출 중소기업은 63.5%에 달했다. 부산에 위치한 한 비제조업체는 “바이어가 12월 중 방문 예정이었지만 일정이 연기됐다”며 “현 상황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주문을 내년으로 연기 하겠다고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 급등 여파로 피해를 입은 기업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의 한 제조업체는 “계엄 전날 송장을 받아 결제를 앞두고 있었는데 하루 사이에 환율이 급등해 손해를 봤다”며 “해외 거래처 측에서는 제시간에 결제가 안 될까 봐 결제기일을 앞당기려고 한다”고 호소했다.
수출 기업들의 절반 이상(51.7%)은 ‘국내 상황에 문제없음을 적극 해명’을 피해 대응 대책으로 꼽았다. 새로운 바이어 발굴 노력(13.3%), 피해를 감수하고 계약 대안 제시(8.8%)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도 25.5%에 달했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정책으로는 ‘국가 대외신인도 회복’과 ‘환율 안정화’가 가장 많이 꼽혔다.
한편 수출 기업의 절반(49.3%)은 국내경제의 불확실성 지속 기간을 ‘6개월 이내’로 전망했다. ‘1∼2년간 지속’할 것이라고 본 기업도 32.2%에 달했다. 중기중앙회 추문갑 경제정책본부장은 “국가 신뢰도 및 이미지 하락과 환율 급등으로 인한 여파로 수출 중소기업들이 힘든 상황”이라면서 “무엇보다 대외신인도 회복과 환율 안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