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정교해지는 ‘대환대출 사기’ 다시 활개
경남 대환대출 사기 1년 새 14%증가
피해액은 38% 급증, 60대 이상 집중
“구체적인 수법 숙지해 피해 예방해야”
경남에서 대환대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증가세를 보여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경기 불황 등으로 서민 대출이 일반화되자 이자가 저렴한 상품을 미끼로 금융기관을 사칭하는 범죄가 다시 성행하는 분위기다.
30일 경남경찰청에 따르면 도내 전화금융사기 현황은 2023년 597건에서 2024년 11월까지 536건을 기록했다. 건수는 줄었으나 피해액은 123억 원에서 174억 원으로 41%가량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금융사기 중 기관사칭형 범죄는 최근 줄어든 반면 대출빙자형 범죄가 늘어났다.
도내 대출빙자형 전화금융사기는 2023년 306건에서 2024년 11월 기준 349건으로 약 14%가 증가했으며, 피해액은 81억 원에서 112억 원으로 38% 증가했다. 연령별 피해자 증가율은 △20대 이하 7% 증가(13명→14명) △30대 32% 증가(25명→33명) △40대 32% 감소(92명→86명) △50대 5.6% 감소(125명→118명) △60대 64% 증가(50명→82명) △70대 이상 166%(3명→8명)다.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피해가 두드러진다.
실제 지난해 4월께 창원에 사는 7명의 피해자가 대환대출 사기에 속아 12차례에 걸쳐 총 1억 4000만 원 상당을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건넸다. 보이스피싱 일당은 이자가 싼 대출을 받아 기존 대출을 갚을 수 있다며 피해자들을 유인, 추가 대출을 받게 만든 뒤 그 돈을 가로챘다. 피해자들은 택시기사나 주부 등 일반 서민들로, 조금이라도 가계 부담을 줄이고자 생각했다가 결국 화를 입었다.
경찰 관계자는 “경제가 어려워지고 가계 사정이 힘들어지다 보니 서민들이 대출을 더 받게 되고 범죄단체는 이를 파고들어 철저한 시나리오를 준비해 사기를 치면서 피해가 느는 것 같다”면서 “일당을 잡아도 대부분 단순 수거책으로 정작 범행을 주도하는 해외 콜센터 상선을 잡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경찰은 피해 예방을 위해 구체적인 범행 수법에 대해서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일단 보이스피싱 접근 방식은 전화·문자·광고 등 다양하지만 범행 수법은 유사한 편이다. 보이스피싱 일당이 피해자들과 연락이 닿으면 ‘저렴한 대출상품이 나왔다. 신청서 작성을 위해 신분증이나 재직증명서, 통장사본 등이 필요하다’며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해 은행 백신을 삭제하는 수법이다.
이어 다른 공범이 기존 대출 발생 은행인 것처럼 피해자에게 연락해 ‘이중 대출을 신청해 계약 위반이라며 계좌 지급정지를 하겠다’는 등 말로 속인다. 이때 대부분 피해자는 앞서 대환대출 상담을 한 콜센터에 다시 전화해 자신의 상황을 설명한다. 보이스피싱 일당들이 번갈아 피해자와 통화하며 은행 대표번호로 상담을 받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후 보이스피싱 일당들은 피해자의 지급정지 해제 등을 돕겠다고 하고, 다만 이는 금융법상 위법이라 기록을 남기면 안 된다고 안내한다. 이어 수거책 계좌로 송금받거나 대면 편취로 넘어가는 수순이다.
경찰 관계자는 “범죄조직은 편리해진 금융서비스 앱을 악용해 피해자의 자산 현황을 파악 후 집요하게 범행을 시도하기 때문에 타인으로부터 인증번호를 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