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산업계·노조 잇따라 철회 촉구 [트럼프發 관세 전쟁]
석유화학·자동차업계 등 우려 목소리
철강노조·정유업계도 반대 입장 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 내 노조와 업계에서 반발 목소리가 커지는 조짐이다. 원유 등 국제 공급망에 의존하는 다수 산업계의 경우 관세가 오히려 득보다 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다.
2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석유화학업계 단체는 성명을 내고 “우리는 북미 이웃 국가들과 신속히 해결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느끼기 전에 원유, 정제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 일정에서 제외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동차혁신연합 존 보젤라 회장은 “북미의 원활한 자동차 무역은 3000억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차지한다”며 “이는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산업 일자리, 자동차 선택 및 미국의 자동차 구매력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자동차정책위원회 맷 블런트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 직접 협상한 북미자유무역협정 기준을 충족하는 자동차와 부품은 관세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품산업 단체인 소비자 브랜드 협회 톰 매드레키 부사장은 “멕시코,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 특히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재료와 투입물에 대한 관세는 소비자 가격을 높이고 미국 수출업체에 대한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85만 노동자를 대변하는 미국 철강노조(USW) 역시 “USW는 오랫동안 고장 난 무역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개혁을 요구해 왔지만, 캐나다와 같은 주요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캐나다산 원유와 철강은 미국 산업에 필수적”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미국 석유 정제업계도 “캐나다산 원유가 너무 비싸지면, 오히려 베네수엘라 등 다른 국가에서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 캐나다 정부는 미국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 원유·천연가스 수출 제한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캐나다는 미국 내 원유 공급의 60%를 차지하는 최대 공급국이라 원유 수출 제한 시 미국 휘발유 가격이 갤런당 0.75달러(약 1000원) 이상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일부 미국 기업인들은 이번 조치로 미국 제조업이 살아난다며 환영하는 기류도 없지 않다. 시카고 인근 금속 제조업체 ‘아틀라스 툴 웍스’의 대표 잭 모틀은 뉴욕타임스에 “이번 조치는 수십 년간 실패한 무역 정책을 바로잡고, 미국의 제조업과 농업 산업을 재건하는 데 필요한 과감한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