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강성 지지층 결집 고무…'옥중정치' 비판엔 눈치
주말 집회에서 '탄핵반대' 목소리 분출되자 기대감
중도층 민심 자극한다는 우려에 당분간 접견 중단키로
보수 지지층을 중심으로 한 ‘탄핵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도 함께 커지고 있다.
지난 1일과 8일 부산과 대구에서 각각 열린 탄핵 반대 집회에는 예상을 뛰어넘는 인원이 모이며 정점을 찍었다. 그러면서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 대통령을 만나려는 여권 인사들이 줄을 잇고 있다.
국민의힘 김기현 전 대표와 추경호 전 원내대표, 이철규·정점식·박성민 등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은 10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찾아 윤 대통령을 접견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당이 자유 수호·주권 회복 의식과 운동을 진정성 있게 뒷받침해주면 국민들의 사랑을 받을 것”이라는 취지로 언급했다. 이어 “국민들, 특히 청년들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어서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당 지도부는 중앙정부와, 의원·당협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서 어려운 분들과 자립 청년, 영세 자영업자를 잘 챙겨달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나라가 여러 위기에 있다는 판단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며 “헌법과 절차의 범위 내에서 모든 것이 이행됐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을, 7일에는 윤상현·김민전 의원을 각각 만났다.
윤 대통령은 이처럼 정치인들을 통한 옥중 메시지와 변호인단 입장 등을 통해 헌법재판소의 이념 편향성, 수사 절차의 부당함 등을 강조하면서 민주당 집권에 대한 우려를 가진 보수층을 결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의 영향력은 비상계엄 이후 숨죽였던 여권 정치인들을 거리로 나서게 했다. 대구 집회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뿐 아니라 대구·경북(TK)을 지역구로 두거나 대구에 연고가 있는 비례대표 등 12명이 참석했다.
다만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경우 치러질 조기 대선에서는 ‘옥중 정치’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강성 지지층을 모으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중도층 민심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 측은 옥중 정치라는 비판이 이어지자 이날 여당 의원들을 만난 것을 끝으로 당분간 정치인 면회를 중단할 것으로 전해졌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