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에서 300인 기업까지… 지역 블록체인 일자리·매출 증가

이정훈 기자 leejnghu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인터넷진흥원 실태조사

전국 472곳 중 부산 10% 차지
매출 100억 원 이상 1곳서 3곳
가상자산사업 성장세엔 못 미쳐
“정부 관심과 지원 필요는 여전”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해 10월 28일 부산 해운대구 시그니엘 부산에서 열린 ‘블록체인 위크 인 부산(BWB) 2024’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부산일보DB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해 10월 28일 부산 해운대구 시그니엘 부산에서 열린 ‘블록체인 위크 인 부산(BWB) 2024’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부산일보DB

블록체인 규제자유 특구 부산에 ‘제로(0)’였던 300인 규모 블록체인 사업체가 창출되고, 1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 중인 기업들이 증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 다만 블록체인 산업 전체로는 가상자산사업자에 밀려 주춤하고 있다. 부산은 규제 특례 사업으로 가상자산을 선정한 사례가 없다.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표한 ‘2024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블록체인 공급기업의 수는 총 472개 사로 전년 대비 62개 사 늘었다. 지역별로는 절반 이상이 서울(58.3%)에서 영위 중이다. 이어 경기(13.6%), 부산(10.2%), 대구(3.8%) 순이다.

부산은 수익성이 확대되는 블록체인 기업과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 1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 중인 전국 블록체인 기업 수는 92개 사다. 이중 부산은 3개 사(3.3%)로 전년 대비로는 2개 사 늘었다. 특히 2022년 0%였던 부산의 300인 이상 종사자 사업장도 탄생했다. 전국에서 이 같은 규모의 블록체인 업체는 27곳 뿐이다.

다만 블록체인 산업 전체로는 가상자산사업자보다 규모가 한참 뒤처지고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과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이 주력인 기업들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14.1% 하락했다. 가상자산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 매출액 비중이 30% 증가한 점과 대조적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자산사업자를 제외한 2023년 블록체인 산업 전체 매출은 4052억 원이다. 반면 같은 해 가상자산거래소를 포함한 가상자산사업자 매출은 1조 1777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블록체인 산업 전체 매출의 3배에 달하는 규모다.

부산에는 가상자산이 규제 특례 사업으로 선정된 전례가 없다. 지난 9차례 특구 특례 사업에는 금융·물류·보안·빅데이터 분야가 선정됐다. 규제 특례 사업은 지자체 신청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와 금융위원회 등의 심의 후 특례 사업으로 확정된다.

인력 분포에서도 쏠림현상이 극심하다. 2023년 하반기 기준 가상자산사업자 종사자 수는 1798명으로, 전체 블록체인 산업 종사자 3961명의 45.4%를 차지했다. 블록체인 기술개발과 직접 연관된 분야의 성장은 더딘 것으로 분석됐다.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의 종사자 수는 1156명으로 전년보다 8% 감소했다. 2024년 예상 종사자 수는 1.5% 감소한 1139명으로 집계됐다.

블록체인 산업 미래에 대해 기업은 어둡게 바라봤다. 지난해 블록체인 산업 전망에 대해 응답 기업의 47.5%가 ‘변함없음’을 선택했다. ‘악화 예상’은 31.7%로 ‘호전 예상’의 20.8%를 크게 앞질렀다. 업계는 정부 예산 감축과 규제 불확실성 등을 산업 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올해 블록체인 지원 사업 정부 예산은 전년 대비 200억 원 감소했다. 블록체인 업계 숙원인 토큰 증권 발행(STO) 법안은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이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정부 내에서도 일반 대중과 같이 ‘블록체인=가상자산’이란 인식이 강화되는 것 같다”며 “블록체인은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순기능이 많기에 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eejnghu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