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머무는 도시로…창원 2028년까지 청년주택 2000호 공급
청년 주거·공공기여형 청년주택 등 조례 시행
작년 668호 올해 348호 공급 5년간 2000호
경남 창원시가 2028년까지 청년주택 2000호를 공급한다. 청년들이 가장 원하는 정책인 주거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해 청년이 머무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최근 ‘청년 주거 기본조례’와 ‘공공기여형 청년주택 등 지원 조례’를 시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청년 주거 기본조례는 청년주거 안정을 도모하고 주거 수준 향상과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이를 통해 시장은 청년의 전월세보증금 융자와 이자 지원, 청년가구 임차료 지원, 청년주거 관련 정보·상담 제공, 청년 맞춤형 주택공급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다.
공공기여형 청년주택 등 지원 조례는 시가 공공기여제(기부채납)으로 공급받은 건물을 재정비해 청년에게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공공임대주택에 대해 시가 재정 여건이 가능한 예산 범위에서 임대료 등도 지원할 수 있다.
시는 이들 조례 등을 통해 청년이 겪는 주거 불안정을 해소하면서 청년인구 유출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말 창원 청년(19~39세) 5567명에 대해 청년정책 사업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확대 추진해야 할 청년정책으로 ‘주거’ 문제가 1순위로 꼽혔다. △주거(26%), 일자리(23%), 자산 형성(18%), 여가 활동비(14%), 구직활동(13%), 마음 건강(5%), 기타(1%) 등 순이다.
이에 시는 2028년까지 청년주택 약 2000호를 신규 공급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678호에 이어 올해는 348호를 공급한다. 의창구 명곡동 행복주택과 성산구 안민동 임대주택 등에 공급됐으며, 주택 규모는 전용면적 기준 22~44㎡다. 내년에는 375호, 2027년 400호, 2028년 100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창원시만의 노력으로 청년 이탈을 방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청년을 위한 주거 등 정책을 중점적으로 강화해 장기적으로 인구 반전과 청년이 머무는 도시를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 ‘청년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도 추진한다. 창원 청년 실태와 대내·외 여건 분석을 통해 청년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마련하고 분야별 실현 가능한 과제를 발굴하는 등 내년부터 적용될 청년정책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계획에는 청년 친화 도시 조성,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