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선, 트럼프 중국 견제에 '방긋'… 고관세엔 '불안'
미, 중국 선사·선박 수수료 부과
국내 시장 반사이익 기대 커져
불확실성·해상물류 감소 우려도
"적극 대응하면 큰 기회 올 수도"
미국이 자국 중심 고관세 정책 드라이브를 걸면서, 국내 해운·조선 업계가 냉온탕을 오가며 혼란스러운 모양새다.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견제가 부각되자 국내 해운·조선 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글로벌 해상물동량 감소가 본격화하면 국내 시장도 상당한 영향을 피할 수 없다는 불안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지난 21일(현지 시각)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선사의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약 14억 원) 또는 선박 용적물에 t당 최대 1000달러(약 144만 원)의 수수료를 부과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산 선박을 포함한 복수의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는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도 조건에 따라 최대 150만 달러(약 21억 5000만 원)의 수수료 등을 부과하기로 했다.
USTR은 중국의 조선·해운·물류 산업 장악력이 수수료 부과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중국 해운·조선업의 가격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기 위한 조처로 시장은 받아들이고 있다.
USTR의 조처가 실현되면 글로벌 4대 해상운송기업 중 하나인 중국 코스코(COSCO)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코스코는 미국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에 103만㎡ 규모의 터미널과 대형 크레인 14대를 운영 중이다.
수수료 부과가 현실화하면, 중국 선사나 중국 선박을 소유한 선사들은 중국산 선박을 처분하거나 다른 항로를 찾아야 한다. HMM 등이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른다. HMM도 중국 선박이 있지만 모두 동남아 등의 항로에 배치돼 있다. 수수료 걱정이 없는 셈이다.
조선업계에도 미국의 대중국 견제 효과가 나타나, 국내 조선사의 수주 행렬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럼에도 트럼프 2기가 몰고 온 불확실성이 결국 국내 해운·조선 업계에도 구조적 불황을 야기할 수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해상물동량의 급격히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꾸준히 2000선을 웃돌았던 글로벌 컨테이너 해상운임이 6주 연속 하락하며 1500대까지 떨어진 것도 물동량 둔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해양진흥공사의 ‘트럼프 2기 보호무역정책과 해운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철도 트럭 등 북미 내륙 물류는 강화되고 기존 해상운송 비중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미중 교역이 줄어들면서 한국-중국-미국을 잇는 해상 항로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체 무역 항로들이 생길 수 있어, 선제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진공은 해당 보고서에서 “중국이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신흥국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며 “아세안, 중동, 아프리카 등과 교역량이 증가할 전망인데 우리가 새로운 물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있다”고 평가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