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도의회 여론 주도 기대 크다
부산시의회, 내달 특위 구성 지원 박차
경남도의회도 전향적인 분위기 고무적
부산시의회가 부산·경남 행정통합 특별위원회 구성을 추진 중이다. 다음 달 임시회 기간 특위를 발족시키는 게 목표라고 한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지난해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아직 선언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이런 형편에 시의회가 나서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여론 수렴에 나서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이라서 의미가 크다. 여기에 더해 이미 행정통합 특위를 구성한 경상남도의회가 최근 경남도의 미온적 태도를 질타하는 등 새로운 기운이 형성되고 있다. 행정통합의 관건이 시도민 공감대 형성에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부산·경남 양 의회가 협력해서 여론 형성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있어서 부산시의회의 역할은 핵심적 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산시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지만, 행정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철저하게 점검하고 시민 목소리를 듣는 것 역시 대단히 중요하다. 통합 추진 과정에서 지원할 것은 과감하게 지원하고 문제점은 바로 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행정통합에 따른 특례 사항을 발굴해 시민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작업도 챙겨야 한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특위에 대한 기대감이 큰 이유다. 시의회는 지난 17일에는 행정통합의 행정적·재정적 지원 근거를 담은 조례안도 가결한 바 있다. 조례의 뒷받침과 향후 특위 활동이 성공적 통합의 결과로 이어졌으면 한다.
부산시의회의 의욕만큼이나 고무적인 것은 경남도의회의 적극적인 움직임이다. 경남도의회는 지난해 12월 경남·부산 행정통합 특위를 출범시키고 지난 24일 공식적인 특위 활동에 들어갔다. 이날 특위 회의에서는 행정통합 추진에 소극적인 경남도의 자세를 질타하는 시의원들의 목소리가 쏟아졌다고 한다. 행정통합 실무조직이 꾸려지지 않았고, 도민들의 의견 수렴은 시작도 못 했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견제와 감시” “채찍질” “정치쇼는 불가” 같은 발언은 행정통합 추진 과정에서 안이한 태도를 보여온 경남도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수위의 목소리라서 주목된다. 일단 두 지방 의회의 협력 조건은 갖춰진 셈이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11월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킨 바 있다. 이후 행정통합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등 통합의 불씨를 살리는 중이다. 내실 있는 논의와 실질적인 통합의 결실을 보려면 헤쳐 나갈 난관이 한둘이 아니다. 부산시의회와 경남도의회가 두 지자체를 견인하는 역할을 제대로 해낼 수 있다면 향후 행정통합의 성사 전망은 밝을 수밖에 없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민 여론이다. 두 의회가 양쪽 시·도민이 윈윈할 수 있는 구체적 혜택과 이점을 명확히 알리고 공감대를 넓힐 수 있도록 적극 연대해야 한다. 부산시와 경남도 역시 이에 발맞춰 행정통합 추진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