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 예대금리차 2년 반 만에 최대
1.29 ~ 1.46%P… NH농협 가장 커
금리 하락기에 매우 이례적 현상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가 2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금리 하락기에는 예대금리차가 줄어들지만 은행권이 기준금리·시장금리 인하분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에 더 빨리 적용한 결과다. 특히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3% 정기예금 상품이 사라지고 있어 예대금리차는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3일 은행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29~1.46%포인트(P)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1.46%P로 가장 컸고, 이어 신한(1.42%P)·하나(1.37%P)·우리(1.34%P)·KB국민(1.29%P) 순이었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1월 예대금리차가 5.33%P로 1위였다. BNK부산은행은 1.98%P로 나타났다.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 확대는 금리 하락기에 매우 이례적 현상이다.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시장금리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시기에는 보통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려 예대금리차가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당수 국내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오히려 작년 8월 이후 지난 1월까지 대체로 계속 커지는 추세다.
지난해 3분기 수도권 주택 거래와 관련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당국이 은행들에 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했고, 은행권이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여러 차례 올린 뒤 아직 충분히 내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작년 7월과 비교하면 지난 1월까지 6개월 동안 △신한은행 1.22%P △우리은행 1.19%P △KB국민은행 0.85%P △하나은행 0.84%P △NH농협은행 0.61%P씩 예대금리차가 커졌다.
요즘처럼 큰 예대금리차는 수년 만에 처음 나타나는 드문 현상이다. 하나은행의 1월 예대금리차(1.37%P)는 공시 자료가 존재하는 2022년 7월 이래 최대 기록이다. 신한은행(1.42%P)도 공시 자료 발표 첫 달인 2022년 7월(1.46%P)을 제외하고 2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