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찾는 이재명 글로벌허브·산은법부터 해결하라
북극항로보다 현안에 더 집중해야
진정성 있는 행보는 시민 바람 부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조기 대선 가능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6일 부산을 방문해 지역 공략에 나선다. 이 대표는 이날 북극항로 개척 의지를 밝힐 예정이다. 북극항로는 대선 국면을 대비해 민주당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슈다. 이처럼 탄핵 정국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이 대표가 부산 표심을 자극하려는 행보를 펼치고 있지만 지역 여론은 차갑다. 부산은 그동안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과 산업은행 부산 이전 등 핵심 현안 해결을 촉구해 왔으나 이 대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오히려 지역 민심의 불만을 샀다. 부산을 찾는다면 북극항로와 같은 이슈보다는 글로벌허브법 통과와 산은법 개정이라는 지역의 시급한 요구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부산은 정치권에 글로벌허브법 통과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지만 정쟁 속에 그 목소리는 묻히기 일쑤였다. 부산은 글로벌허브도시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경제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글로벌허브법 국회 통과가 절실하다.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지역 상공계, 시민사회도 글로벌허브법 등 지역 현안 국회 통과를 위해 재시동을 걸고 있다. 부산 본사 이전을 담은 산은법 개정 역시 부산의 경제 성장과 직결되는 문제다. 부산이 산은 본거지로서 지역 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두 법은 정쟁 이슈가 결코 아니란 얘기다. 부산의 미래를 위해 두 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 대표의 부울경 지지율은 23%로 서울(38%), 경기·인천(35%), 대전·세종·충청(35%)에 비해 낮았다. 연이은 부산 구애에도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이유는 이 대표가 지난해 산은법 개정에 반대한 데 대한 부산 주민들의 불만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총선을 앞두고 2023년 부산을 찾았지만 이 대표는 공식 석상에서 단 한 번도 산은을 언급하지 않았다. 여기다 지난 2월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도 부산 현안인 산은 이전과 글로벌허브법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이 대표가 부산을 방문하면서 두 법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다면 부산 민심을 얻기 위한 노력은 공염불에 불과할 것이다.
부산 시민들은 더 이상 정치적 논란이나 정쟁에 휘둘리기보다는 글로벌허브법과 산은법 개정을 통해 부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모습이 그려지길 원한다. 이 두 법안은 부산을 글로벌 허브 도시로 성장시키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대표가 부산을 방문해 지역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진정성 있는 행보를 보여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단순히 정치적 관심을 끌기 위한 방문이 아니라 부산의 미래를 위한 법적 지원과 정책적 약속을 확실히 해야 한다. 중요한 현안을 제쳐두고 북극항로 운운하는 것은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부산 시민의 바람에 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