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부산 미해결 현안 고삐 죈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글로벌허브도시 범시민회의 참석
특별법·산은 이전 즉각 처리 촉구
계엄 여파 외면 지역 이슈 재시동
오늘 이재명 대표와 부산서 만남
“복수의 혁신 균형 거점 만들어야”

박형준 부산시장이 5일 오후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범시민추진협의회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박형준 부산시장이 5일 오후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범시민추진협의회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박형준 부산시장이 ‘부산 현안’을 강조하는 광폭 행보를 보인다.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치적 혼란으로 한동안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산업은행 부산 이전 등 부산 현안이 부각되지 못했는데, 박 시장이 다시 지역 현안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있다.

5일 오후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부산 상공계, 시민사회 인사 등 50명이 참여한 ‘부산글로벌허브도시 범시민추진협의회’(범시민협의회) 회의가 열렸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통과를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11월 말 이례적으로 국회 앞에서 1박 2일 천막 농성을 벌이면서 논의가 지지부진한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이 조속히 처리되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앞서 범시민협의회가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을 촉구하는 160만 명의 서명을 국회에 전달하면서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통과를 위한 분위기가 조성되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등으로 부산 지역 현안은 정가에서 뒷순위로 밀렸다.

박 시장은 이날 협의회 회의에서 “앞으로도 정치적 상황 변화와 관계없이 활발한 논의와 협력을 이어가 주기를 바란다”면서 “지역 사회의 노력이 하나로 모인다면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곧 부산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산 중요 현안인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위한 한국산업은행법 개정 문제도 속도가 붙었다. 국회전자청원에 공개된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위한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안 즉각 처리 요청에 관한 청원’이 지난 4일 청원 요건인 5만 명을 달성했다. 지난달 11일 전자청원이 시작된지 3주 만이다. 청원 요건이 달성된 만큼 국회 소관 상임위는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안 심사를 90일 이내에 마치고 국회의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여전히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통과,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위한 산업은행법 개정이라는 부산의 최대 현안이 해결되기까지는 정치적으로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6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박 시장이 부산에서 만나는 만큼 두 현안이 테이블에 오르겠지만, 어느 정도까지 이견을 좁힐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박 시장은 지역 현안을 강조하면서 ‘혁신 균형발전 리더십’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박 시장은 지난달 27일 국회 ‘미래자유연대’ 창립 세미나에서 했던 기조연설의 기반이 된 소책자 〈대한민국 재건을 위한 명령〉을 최근 발간했다. 박 시장은 “혁신 균형발전이란 전국에 복수의 혁신 거점을 만들고 이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균형발전을 의미한다”며 “떡을 나눠주는 식의 균형발전보다는 확실한 떡시루를 몇 곳에 만들자는 것이고, 이들 광역도시들을 특성화된 혁신거점도시로 전략적으로 키우는 전략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