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방 후 열흘째 '정중동' 행보 尹, 헌재 선고 전 승복 약속할까?
차분히 결과 기다리는 분위기
별도 메시지 여론 자극 역효과
민주 "승복 약속 최소한 도리"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승복 선언’을 두고 여야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핵심 당사자인 윤 대통령은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소한의 도리’라며 윤 대통령의 승복 메시지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다만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선고 때까지 관련 메시지를 내지 않고 헌재 결정을 기다릴 것으로 보인다.
17일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석방 이후 약 열흘 동안 외부 활동을 중단하고 메시지 역시 내지 않고 있다. 최근 여야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대한 승복 메시지를 내는 것과 관련해서도 앞으로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별다른 메시지를 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승복 메시지에 대한 대통령실 공식 입장은 없다. 차분하게 결과를 기다릴 것’이라는 입장이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석방 이후 줄곧 “(윤 대통령은) 차분하고 담담하게 결과를 기다릴 것”이라는 입장을 반복해 왔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은 헌재 판단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것”이라고 헌재 판단에 대한 승복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이를 두고 대통령실과의 사전 조율 여부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침묵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보다 한발 더 나아가 ‘헌재 결과 승복’을 내세우면서 양측의 미묘한 기류 차도 감지된다.
일각에선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단 측이 그간 적극적인 메시지를 발신해 왔기 때문에 대리인단 차원의 입장문이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앞서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의 석동현 변호사는 지난달 19일 기자간담회에서 “헌법재판소 결과에 대통령이 당연히 승복할 것”이라며 “승복을 안 하거나 못하는 경우는 생각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여권 내에선 국민의힘 지도부가 강하게 승복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윤 대통령의 별도 메시지는 리스크만 더욱 키울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윤 대통령이 외부 활동을 접고 메시지 발신을 꺼리는 배경이 여론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인데 굳이 헌재 선고를 앞두고 지지층을 흔들만한 승복 메시지가 필요하겠냐는 것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헌재 결정 승복은 다툼과 요구가 필요 없는 당연한 이야기”라며 “윤 대통령이 리스크를 안고 별도의 메시지를 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최근 국민의힘 안팎에서 헌재의 기각·각하 결정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윤 대통령이 선고 때까지 헌재를 자극하는 일련의 메시지나 행동도 없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 같은 상황에 민주당은 윤 대통령 승복 선언을 더욱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 김민석 의원은 이날 최고위에서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마지막 도리”라며 “윤석열 입으로 승복을 약속할 시간”이라고 했다.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도 “윤석열의 승복과 수용 선언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