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 이란 핵시설 공격 경제·안보 불안 철저히 대비해야
전면전 치달을 땐 걸프전 충격 재연 우려
유가·물가 폭등 피해 차단 대책 서둘러야
미국이 이란에 대한 직접 공습을 벌이면서 중동 정세가 예사롭지 않게 돌아가고 있다. 미국은 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란 핵시설에 대한 타격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핵 위협을 제거해 영구적 평화를 이루기 위한 조치였다며 이란에 백기 투항을 촉구했다. 하지만 이란이 핵시설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중동 사태는 자칫 전면전 위기를 맞고 있다. 중동 리스크가 커지면 우리 경제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다. 벌써 기름값이 들썩이고 있다. 정부의 빈틈없는 경제·안보 대비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 백악관 대국민 연설을 통해 “중동의 불량배 이란은 이제 평화를 선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큰 비극이 이란을 기다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 평화의 시기가 왔다"라고 예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란은 미국의 예상과 전혀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란은 “미국이 입을 피해는 이란이 입을 피해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며 강력한 대응을 시사했다. 핵 활동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 결국 이란은 22일 이스라엘을 향해 또 미사일을 발사했다. 지난 13일 이스라엘이 기습 공격하며 본격화된 양국의 충돌은 겨우 10일 만에 전면전 양상으로 치달을 우려가 높아진 것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안보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국내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위 안보실장은 “무엇보다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국민이 안정적인 일상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반도 안보와 경제 상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관계부처 간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의 발빠른 대응은 다행스럽지만 이번 사태가 우리 경제와 안보 상황에 미칠 영향이 생각보다 무척 크다. 모든 외교 라인을 동원해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등 보다 더 철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1991년 중동에서 발발한 걸프전 당시 한국은 유가와 소비자물가 폭등, 제조업 침체 등에 시달렸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전면전으로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면 걸프전 충격이 재연될 우려가 높다. 원유가 폭등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치명적 후폭풍을 불러온다. 해운 물류 대란도 불가피하다. 더욱이 이란은 북한과 군사 협력 중인 우방국이다. 이번 사태가 중동에서 벌어졌지만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이런 이유다. 새 정부가 한층 장기적 안목으로 북핵 등 안보 현안은 물론 경제 충격 최소화 대책을 차질 없이 준비하길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