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 빼곤 ‘느림보 개통’… 지역 정치권·지자체 나서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울경 광역전철망 진행 어디까지

동해선 2단계(부산 일광~울산 태화강) 구간이 28일 개통하면서 부울경 메가시티의 근간이 될 광역전철망이 첫 단추를 끼웠다. 부산과 울산이 전철망으로 이어지면서 나머지 부울경 광역전철망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21일 국가철도공단과 부산시 등에 따르면 동해선 2단계 구간은 오는 28일 개통한다. 부산권역 내 동해선 1단계 부전~일광 구간(28.5km)은 2016년 개통해 부산도시철도 5호선 기능을 해 왔다. 이번 2단계 구간(37.2km)이 개통하면 광역전철망으로 역할이 격상된다. 동해선을 타고 부산 부전역에서 울산 태화강역까지 76분이면 갈 수 있어, 부산과 울산이 1시간대 전철 생활권으로 묶이게 된 것이다.

올 3월 예정 부전~마산 복선전철
지반 침하로 내년 말 개통 가능
하단~녹산선은 ‘예타’ 다시 도전
부산·경남 잇는 전철망 모두 지연
예산 문제 해결 사업 속도 높여야

부산과 울산이 전철망으로 이어지면서 부산과 경남을 잇는 광역전철망이 언제 개통할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부산과 경남을 잇는 광역전철망은 부산김해경전철이 있지만, 노선이 짧아 부산에서 경남을 관통하는 진정한 광역전철망이라고 볼 수 없는 수준이다.

이에 실질적인 부산과 경남 간 광역전철망으로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추진 중이다. 당초 올 3월에 개통돼 부울경 첫 광역전철망이 됐어야 할 부전~마산 복선전철은 지난해 3월 발생한 제2공구(낙동강~사상역) 하저터널 지반 침하사고로 국토교통부가 아직 사고 원인 분석 작업을 진행 중인 상태다. 국토부가 사고 원인과 부실 공사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 중인 용역은 내년 상반기나 돼야 마무리될 예정이다.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에 늑장 개통 문제를 제기해 온 정동만 의원(부산 기장)은 “사고가 난 공구에 대한 공사도 다시 해야 해 개통은 빨라야 내년 말 가능할 것이라고 국토부 등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개통하면, 부전역에서 출발한 복선전철이 사상역~김해공항~가락IC~장유~신월~창원역~창원마산역까지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8분에 불과하다. 동해선 1·2단계에 이어 부전~마산 복선전철까지 운행되면 경남~부산~울산 즉, 창원마산역~부전역~태화강역을 2시간 내에 오갈 수 있다.

부산시가 추진 중인 부산도시철도 하단~녹산선도 부산과 경남 간 광역전철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단~녹산선은 현재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10월 말 예타를 재신청했다. 지난해 5월 하단~녹산선은 예타에서 탈락했으며, 시는 역사를 13개에서 10개로, 길이를 14.40km에서 13.47km로 줄여 예타에 다시 도전했다.

예타 결과는 내년 2~3월께 나올 예정으로, 이번에는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 시는 예타가 통과되면 2025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산시 손명석 도시철도과장은 “역사와 노선이 축소돼 경제성이 향상됐고, LH의 명지국제신도시 개발이익환수금을 하단~녹산선 사업비로 조달하기로 해 특수평가에서도 가점을 받을 수 있어 통과 가능성이 높다”며 “명지국제신도시의 인구가 늘고 있고, 에코델타시티 개발도 본격화된다는 점도 호재”라고 밝혔다.

창원시는 하단~녹산선 추진에 맞춰 하단~녹산선을 진해까지 연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부산 녹산공단과 창원 진해구 웅동까지 진해 연장선(7.2km·5개역)을 건설해 창원시가 추진 중인 간선 급행버스 등과 부산의 도시철도망을 연결, 부산과 경남을 잇는 광역전철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들 광역전철망 개통이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다는 점은 지역 정치권과 지자체들이 풀어야 할 과제다. 부울경 메가시티가 지역 소멸을 막을 핵심 과제로 떠오르면서, 예비타당성 조사는 물론 운영비 등 예산 확보 문제를 국가 균형발전 이슈로 이끌어 내 서둘러 해결함으로써 사업 속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내년도 정부 예산에 부전~마산 복선전철에 전동차를 투입하는 사업 예산을 확보하는 데 역할을 한 이헌승 의원(부산진을)은 “진정한 의미의 광역전철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운행 간격을 줄이고, 전동차 추가 투입과 운영 적자 보전 등이 필요하다”며 “정부도 지자체들끼리 예산을 해결하라고 내버려 둘 것이 아니라, 국가균형발전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해결과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대성 기자 nmaker@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