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숨비] 해녀 취재하다 해남이 되기로 했다 #8-1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 남형욱 기자 thoth@busan.com ,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 이지민 에디터 mingmini@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숨비’는 제주도 밖 육지 해녀의 대명사인 부산 해녀를 기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부산은 제주도 해녀들이 처음 출향 물질을 하며 정착한 곳이지만, 지난해 말 기준 60대 미만 부산 해녀는 20명 남았습니다. 인터뷰와 사료 발굴 등을 통해 사라져가는 부산 해녀의 삶과 문화를 기록하고, 물질에 동행해 ‘그들이 사는 세상’도 생생히 전달할 예정입니다. 제주도 해녀보다 관심이 적은 육지 해녀가 주목받는 계기로도 삼으려 합니다. 이번 기획 보도는 〈부산일보〉 지면, 온라인, 유튜브 채널 ‘부산일보’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숨비소리. 해녀가 숨이 차올라 물 밖으로 나올 때 내뿜는 휘파람 같은 소리. 부산 바다에 울리는 숨비소리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20~30대는 없고 70대 이상이 대다수인 부산 해녀. 더 늦기 전에 <부산일보>는 그들의 역사와 삶과 문화를 기사와 영상으로 정리해왔다.

부산 해녀를 취재하던 <부산일보> 기자·PD들이 해남 도전을 시작했다. 조미진 영도 막내 해녀와 함께 영도구 감지해변에서 잠수복을 입고 몸을 푸는 모습.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부산 해녀를 취재하던 <부산일보> 기자·PD들이 해남 도전을 시작했다. 조미진 영도 막내 해녀와 함께 영도구 감지해변에서 잠수복을 입고 몸을 푸는 모습.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그러려면 ‘그들이 사는 세상’을 좀 더 제대로 느껴야 했다. 바다를 누빌 때 감정이나 평소 어떤 고충을 겪는지 궁금했다. 제3자의 시선만으로 알 수 없는 무언가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해녀처럼 바다에 들어가기로 마음먹었다. 올해 초부터 부산 해녀를 기록하는 동시에 바닷속을 누빌 준비를 시작했다. 20~30대 기자와 PD인 우린 ‘해남’이 되기로 했다.


해녀복을 맞추다

우린 ‘해녀복’부터 맞추자고 의견을 모았다. 일단 고무 잠수복을 갖추면 해남 도전을 금세 접진 않겠다고 판단했다.

올해 2월 회사에 해녀복을 맞추겠다고 보고했다. 처음엔 농담으로 여겼지만, ‘납 벨트’와 ‘물안경’까지 필요하다고 하자 분위기는 달라졌다. 의문과 의심 가득한 질문이 돌아왔다. 진심을 담아 설명하자 결국 결재가 났다.

고경영 보온씨테크 대표(오른쪽)가 해남에 도전하는 취재진 머리둘레를 재고 있다. 해녀들은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머리도 얼굴만 남긴 채 잠수복으로 덮어야 한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고경영 보온씨테크 대표(오른쪽)가 해남에 도전하는 취재진 머리둘레를 재고 있다. 해녀들은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머리도 얼굴만 남긴 채 잠수복으로 덮어야 한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영도다리를 건넜다. 고무 잠수복을 맞출 영도구 남항동 ‘보온씨테크’를 찾았다. 범상치 않은 인물이 우릴 맞았다. 보온씨테크 고경영(52) 대표가 줄자로 우리 몸을 구석구석 재기 시작했다. 머리는 더 커졌고, 배는 더 부풀러 있었다.

1968년 ‘보온상사’란 상호로 문을 연 이곳은 국내 최초로 고무 해녀복을 만들어 판매했다. 제주도, 전라도, 경상도까지 고무 해녀복을 퍼뜨린 역사적인 곳에서 좋은 기운을 얻고 싶었다.

보온씨테크 창문에 붙은 ‘스킨다이빙 무료 교육’이라는 글자. 이를 발견한 취재진은 고경영 대표에게 프리다이빙 교육을 부탁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보온씨테크 창문에 붙은 ‘스킨다이빙 무료 교육’이라는 글자. 이를 발견한 취재진은 고경영 대표에게 프리다이빙 교육을 부탁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그러다 우리 시선은 보온씨테크 건물 창문에 고정됐다. 거기엔 ‘다이빙 무료 교육’이란 글자가 붙어있었다. 그에게 물질하는 법을 가르쳐줄 수 있냐고 슬쩍 얘기를 꺼냈다.

그는 흔쾌히 ‘사부’가 돼주겠다고 했다. 올해 3월, 완성된 고무 잠수복을 보여준 고 대표는 “조만간 수영장에서 보자”고 했다. 우린 해남이 되기 위한 본격적인 여정을 시작했다.


사부와 찾은 풀장

사부를 만나기로 한 올해 3월 말. 부산진구 양정동 동의과학대 풀장 앞에서 그를 기다렸다. 생각보다 긴장됐다. 호기롭게 여기까지 왔지만, 괜히 잠수복을 맞췄나 후회도 살짝 밀려왔다.

그는 ‘프리 다이빙(Free Diving)’을 가르치려 했다. 모든 해녀는 공기통 없이 바다에 들어간다. 해남이 되려면 장비 없이 잠수하는 프리 다이빙이 필요했다.

풀장에서 만난 고경영 대표(왼쪽)가 취재진을 상대로 잠수 교육을 시작하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풀장에서 만난 고경영 대표(왼쪽)가 취재진을 상대로 잠수 교육을 시작하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사부는 알록달록한 잠수복을 입고 나타났다. 수심 6m 풀장에서 시범을 보인 그는 생각보다 날렵한 모습이었다. 그를 신뢰하는 마음이 커졌다.

우리도 풀장에 발을 담갔다. 고무 해녀복은 부력이 세서 잠수하려면 납 벨트를 차야 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두께 5mm 잠수복으로 덮은 상태에서 허리에 납이 더해지니 몸은 답답하고 무거웠다.

고무 해녀복을 입고 납 벨트를 찬 채 풀장에 들어간 취재진.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고무 해녀복을 입고 납 벨트를 찬 채 풀장에 들어간 취재진.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먼저 기본자세와 호흡법을 배웠다. 상황에 따라 다른 자세로 입수하는 방법을 배우고, 오리발로 움직이는 연습도 했다. 숨을 강하게 내쉬거나 천천히 들이쉬기도 반복했다.

그러다 줄을 잡은 채 물속으로 조금씩 내려가는 데 도전했다. 줄 없이 수직으로 잠수하는 요령을 익힌 뒤엔 서서히 물에 들어가는 연습도 시작했다.


수심 6m 바닥 찍기

처음엔 조금만 내려가도 귀가 아팠다. 코를 잡고 ‘이퀄라이징(equalizing·압력 평형)’을 연습하며 압력을 조절했다. 앞서 고 대표는 “물속으로 들어가면 귀가 아프다”며 “코를 잡고 세게 부는 게 아니라 부드럽게 천천히 숨을 ‘후~’ 불어야 한다”고 했다.

고경영 대표(왼쪽)가 고무 잠수복을 입은 취재진에게 이퀄라이징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고경영 대표(왼쪽)가 고무 잠수복을 입은 취재진에게 이퀄라이징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코를 막은 채 이퀄라이징을 하니 귀가 뚫리는 느낌이 들었다. 그 상태에서 더 깊이 내려가도 귀가 아프지 않았다. 이퀄라이징을 생략하면 고령 해녀처럼 난청이나 중이염에 시달릴 가능성이 커진다.

우린 겁 없이 물속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조금씩 더 깊게 들어가더니 다들 혼자서도 바닥을 찍을 수 있었다. 수심 6m 바닥까지 잠수하겠다는 첫 목표를 달성했다.

수심 6m 풀장 바닥에 가까이 다가가는 취재진. 이때까지만 해도 쉽게 해남이 될 줄 알았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수심 6m 풀장 바닥에 가까이 다가가는 취재진. 이때까지만 해도 쉽게 해남이 될 줄 알았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올해 4월 풀장을 다시 찾은 우린 물속이 한층 편해졌다. 수심 6m 바닥에 머물며 숨을 참는 여유도 생겼다. 저마다 풀장 곳곳을 누비기도 했다.

수영장에선 이제 할 만하단 생각이 들었다. 잠수를 가르쳐준 고 대표는 “무모한 도전이긴 하지만 해녀들과 조업을 해도 손색없는 실력”이라고 빈말(?)을 해줬다.

사부는 그렇게 우리에게 용기를 주고, 뒤를 돌아보지 않고 떠났다. 그때까진 쉽게 해남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영도 바다와 ‘막내 해녀’

우린 바다에서도 연습을 병행했다. 이번엔 영도 막내 해녀를 만나 도움을 요청했다. 영도구 태종대 스킨스쿠버 숍 ‘해양스포츠교실’ 대표이기도 한 조미진(51) 해녀에게 물질을 가르쳐달라고 부탁했다. 그를 바다의 사부로 모시기로 했다.

조미진 해녀(오른쪽)가 영도 감지해변에서 오리발을 신은 채 바다로 들어가는 취재진을 돕고 있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조미진 해녀(오른쪽)가 영도 감지해변에서 오리발을 신은 채 바다로 들어가는 취재진을 돕고 있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올해 3월 말, 우린 해양스포츠교실로 향했다. 하지만 시작부터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안 그래도 입기 어려운 고무 잠수복이 그만 찢어졌다. 샤워장에서 천천히 물을 묻혀가며 입었지만, 손톱에도 쉽게 찢어지는 게 해녀 잠수복이었다.

그래도 우린 호기롭게 태종대 감지해변으로 향했다. 몽돌(조약돌)이 깔린 이 해변은 드라마 ‘파친코(Pachinko)’에서 선자 역을 맡은 윤여정 배우가 비를 맞으며 울부짖던 곳. 영도 해녀였던 선자는 일본에서 58년 만에 고향 부산에 돌아와 감지해변에 발을 담그고 울었다.

영도 감지해변에서 잠수를 제대로 하지 못한 취재진이 조미진 해녀에게 물을 튀기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영도 감지해변에서 잠수를 제대로 하지 못한 취재진이 조미진 해녀에게 물을 튀기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그러한 감지해변은 잔잔한 풀장과는 달랐다. 조류에 몸이 밀렸고, 바닷속 시야도 탁했다. 조미진 해녀가 옆에 없으면 살짝 불안할 정도였다. 수심 5m까진 들어가겠다고 여유롭게 말한 게 부끄러웠다.

그래도 사부의 가르침 덕에 바다에서도 수직으로 잠수하는 요령을 익혔다. 바닥이 보이질 않아 수심이 깊은 곳은 내려가기가 겁이 났지만, 우린 바다에도 조금씩 적응하기 시작했다.


우리 정말 괜찮을까…

올해 4월 우린 태종대 감지해변을 다시 찾았다. 이날은 조미진 해녀와 인사만 나누고 우리끼리 홀로서기에 도전하기로 했다.

호기롭게 찾아간 바다는 결코 만만한 모습이 아니었다. 파도가 강한 바다였다. 예전보다 당연히 힘들었다.

영도 감지해변에서 잠수를 연습하던 취재진이 파도를 맞아 쓰러지고 있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영도 감지해변에서 잠수를 연습하던 취재진이 파도를 맞아 쓰러지고 있다.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잠수를 연습하던 우린 서서히 지쳐갔다. 세찬 파도에 풀썩 쓰러졌다. 나약한 모습을 숨길 수 없었다.

모두 헛소리까지 많아지더니 결국 드러누워 버렸다. 바닷속에서 ‘군소’를 발견하고 ‘톳’을 찾은 게 그나마 수확이라면 수확이었다.

앞으로 가야 할 부산 바다가 많았다. 과연 우리가 바다를 누빌 수 있을지 의문이 커지기 시작했다.

영도 감지해변에서 잠수를 연습하다 지친 취재진이 몽돌 위에서 쉬고 있는 모습.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영도 감지해변에서 잠수를 연습하다 지친 취재진이 몽돌 위에서 쉬고 있는 모습.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조미진 해녀와 부산일보 취재진이 바다로 향하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조미진 해녀와 부산일보 취재진이 바다로 향하고 있다.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다음 편에서는 거제도 해녀학교로 떠나는 이야기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해남 도전 이야기를 생생히 담은 영상은 기사 위쪽과 유튜브 ‘부산일보’ 채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 남형욱 기자 thoth@busan.com , 정수원 PD blueskyda2@busan.com , 정윤혁 PD jyh6873@busan.com , 이지민 에디터 mingmini@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