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단상] 파크골프장 활로 열어 줘야

백남경 기자 nkbac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백남경 지역사회부 중부경남팀 부장

파크골프 열풍이 예사롭지 않다. 골프와 비슷한 스릴을 만끽하면서도 시간이나 비용면에서 부담이 없는 게 큰 장점으로 꼽힌다. 게다가 파크골프장은 시내 근처 체육공원이나 하천변 등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오가는 부담도 적은 편이다. 이같이 이용객이 급증하자 인프라 증설도 덩달아 추진되고 있는데,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상했다.

대한파크골프협회에 따르면 파크골프 회원 수가 2017년 1만 6728명이던 것이 2018년 2만 6462명, 2019년 3만 7630명, 2020년 4만 5478명, 2021년 6만 4001명으로 매년 1만 명가량 증가하고 있다. 올 연말까지는 10만 명선은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비회원 이용객까지 고려하면 그 숫자가 훨씬 많을 것이라고 짐작하고도 남는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수도권보다 지역 이용객이 더 많다는 사실이다. 전국적으로 대구가 1만 4580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경남 9502명, 충남 4375명 등의 순이다.

이처럼 파크골퍼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자 대구의 경우 2부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짝수일에는 생일이 짝수인 사람이 오전에, 홀수인 사람이 오후에 경기를 한다. 홀수일에는 짝수일의 반대다. 최근에는 이마저도 어려워지자 온라인 사전 예약 시스템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과 2021년을 비교할 때, 파크골퍼는 282%가량 급증했다. 이에 비해 파크골프장은 12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상적인 행정 절차를 밟지 않고 확충된 파크골프장이 많아졌다. 하천변에 조성되는 과정에서 하천점용허가나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이다. 경남 창원의 경우 낙동강변에 조성된 D파크구장 108홀 가운데 상당수가 하천점용허가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김해도 S파크골프장을 포함해 대부분이 비슷한 형편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적인 행정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니 행정 당국에서는 원상복구 공문을 보내 놓은 상태다. 이 때문에 파크골프장을 운영하는 협회 측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행정 당국도 내부적으로는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열풍의 주인공들이 대부분 60~70대 시니어들이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사회는 이들이 여가를 즐기며 시간을 보낼 만한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경남도지사나 창원시장 등이 지난 지방선거 때 파크골프장 공약을 채택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창원시·김해시 등 해당 지자체는 물론 단속 기관인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도 이런 사정을 외면할 수 없게 됐다. 이들 파크골프장은 낙동강 지류에 걸친 하천변이 대부분이어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농약이나 비료 살포에 따른 수질오염을 우려한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규제행정기관이다. 그렇다고 시니어들의 여가 문화 열풍을 퇴로도 없이 봉쇄해버리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규제행정기관이라 할지라도 갈등을 관리하면서 그 해법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역할임을 상기해야 한다.

지역 정치권과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적극 나서서 행정 당국과 머리를 맞대고 파크골프에 활로를 열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백남경 기자 nkbac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