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1.8% 유지…물가상승률은 3.5% 전망

황상욱 기자 eye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경제가 상반기에 둔화 폭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상반기 성장률 전망치를 1.4%에서 1.1%로 내렸다. 다만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로 하반기 경제 회복 속도가 기존 예상보다 빠를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유지했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공공요금 인상 등을 고려해 종전 3.2%에서 3.5%로 0.3%포인트(p) 올렸다.

KDI는 9일 발표한 수정경제전망(사진)에서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1.8%로 예상했다. 작년 11월 전망에서 제시했던 것과 같은 수치다. 이는 KDI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상반기 1.4%에서 1.1%로 내리고 하반기 2.1%에서 2.4%로 올린 결과다. 상저하고의 폭이 더 깊어진다는 것이다.

전망 변화의 주된 배경은 중국의 리오프닝이다. KDI는 중국이 경제활동을 재개하면서 단기적으로 감염병의 급속한 확산과 그에 따른 경제 위축을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우리 경제의 수출이 부진하고 소비도 둔화하는 점도 반영됐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가 기존 예상보다 상반기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게 KDI의 전망이다. 반면 하반기에는 리오프닝 이후 중국 경제가 본격 반등하면서 우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중국인 관광객의 유입 확대가 서비스 수출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올해 총수출(물량 기준)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8%로 상향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하반기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반등요인은 중국 경제"라면서 "중국 경제가 나아지면 물가 상승 압력이 조금 높아질 수 있고 금리도 예상보다 긴축적으로 갈 수 있지만, 여전히 가장 큰 요인이 경기회복이어서 종합적인 영향은 한국경제에 플러스(+)"라고 설명했다.

KDI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1.8%)를 주요 기관과 비교해보면 정부(1.6%), 국제통화기금(IMF·1.7%), 한국은행(1.7%)보다는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와는 같다. 작년 11월 이후 주요 기관들이 성장률을 내리면서 KDI의 전망은 비교적 낙관적인 수치가 됐다.

이와 관련 정 실장은 "작년에 가정했던 것보다 세계 경제가 조금 더 밝아지는 방향으로 갔기 때문에 올해 1.8% 정도가 적당한 전망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3.2%에서 3.5%로 0.3%포인트 올렸다. 이는 정부 전망치와 같다. 국제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높았던 원자재 가격 수준 등이 공공요금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률을 올렸다는 설명이다. KDI는 공공요금 인상에 다른 파급을 고려해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 전망치도 3.3%에서 3.4%로 올렸다.

정 실장은 "전기료, 공공요금뿐만 아니라 다른 근원물가도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다"면서 "그래서 시차 때문에 물가 하락 폭이 국제 유가 등에 비해 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KDI는 공공요금 인상 등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를 반영해 민간소비 증가율도 기존 3.1%에서 2.8%로 낮췄다. KDI는 공공요금 인상과 관련해 올해 전기요금 인상이 지난 1월 오른 폭과 비슷한 속도로 매 분기 진행될 것을 전제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1월 전기요금은 kWh(킬로와트시)당 13.1원 인상됐는데 이는 산업부와 한국전력이 국회에 제출한 연간 전기요금 인상 적정액(kWh당 51.6원)의 4분의 1 수준이다.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율의 상향 조정, 국제유가 하락 등을 반영해 흑자 폭을 160억 달러에서 275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국내 대면서비스업의 호조를 반영해 8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올렸다. 이는 정부 예상치(10만 명)와 같은 수준이다.

KDI는 향후 위험 요인으로 예상보다 약한 중국 경제의 회복세, 고물가 기조 유지에 따른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국내 부동산 경기 하락이 실물경제에 파급되면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도 지적했다.


황상욱 기자 eye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