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복도로 주민 편의와 역사성 모두 살리는 방안을”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원도심 재창조 연속 토론회
고지대~하부 수직연결 시설 필요
계단 정비 등 이동권 보장 공감대
“고도제한 풀어 원도심 새판 짜야”
수직이동시설 예산 확보 급선무

4일 오전 10시 부산 동구 초량동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동구·서구·국민의힘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이 공동 주최한 ‘원도심 재창조’ 토론회가 열렸다. 김준현 기자 joon@ 4일 오전 10시 부산 동구 초량동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동구·서구·국민의힘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이 공동 주최한 ‘원도심 재창조’ 토론회가 열렸다. 김준현 기자 joon@

부산 산복도로의 험한 계단길(부산일보 5월 23일 자 1면 등 보도)을 개선하기 위해 국회의원과 지자체가 머리를 맞댔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산복도로 주민들의 편의 증진을 위해 이동시설 설치와 고도제한 해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다만 무분별한 개발이 아닌 역사성을 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4일 오전 10시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원도심 재창조’ 토론회가 열렸다. 연속 대토론회의 첫 시작을 알리는 이번 토론회에선 ‘산복도로 고도제한 해제와 이동시설 설치’가 주제로 다뤄졌다. 이번 토론회에는 안병길 의원과 김진홍 동구청장, 공한수 서구청장, 부산대 김지현 교수, 부산연구원 이동현 선임연구원 등 10명이 토론자로 나섰고 지역 주민 10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선 동구와 서구 등 원도심 산허리를 따라 조성된 산복도로 주변 지역의 고도제한 해제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이 지역은 그동안 북항과 남항 바다 조망권 확보와 난개발 방지 등의 명분으로 건축물 높이 제한이 설정돼 있었다.

그러나 최근 산복도로 아래 지역에 고층 재개발 아파트가 대규모로 들어서고 북항재개발 지역에도 초고층 건물이 건립됨에 따라 바다 조망권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약 50여 년 전 설정된 고도제한지구를 고수하기 보다는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방향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연구원 이동현 선임연구원은 “산복도로를 품은 원도심이 인구소멸지역에서 벗어나려면 20~30년 후를 고려해 도시개발계획이 짜여져야 한다”며 “고도제한 해제가 원도심의 체질을 바꿀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산복도로는 8·15해방과 한국전쟁 등 우리나라 역사의 현장을 간직한 서민 주거지이기에 역사성을 간직한 채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부산대 김지현 교수는 “산복도로는 그 자체가 아이덴티티”라며 “역사성을 살리면서도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안병길 의원은 “더 이상 난개발 방지나 경관보호를 이유로 산복도로 주민들에게 고통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며 “지형여건 등을 고려한 고도제한 해제 또는 완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복도로의 이동권 문제도 화두에 올랐다. 산복도로는 고지대에 위치해 있지만 하부와 연결되는 도로망이 없고, 좁고 가파른 계단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어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음은 물론 안전까지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수직연결 교통수단 부재와 가파르고 좁은 계단 등의 문제가 우선 해결돼야 한다는 점에 모든 토론자들이 공감했다.

경사형 엘리베이터·모노레일 설치 등 수직연결 이동시설 설치와 위험한 계단 골목길 정비도 논의 중에 있지만 예산 확보가 문제다. 동구의 경우 7개 대상지에 이동편의시설을 설치하려면 총 사업비 191억 원이 소요된다. 서구 역시 147개소 계단 정비와 수직형 엘리베이터 설치 등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 사업에는 총사업비 100억 원이 투입되는데 서구는 부산시 사업과 국비 공모사업에 지원해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동구는 현재 시에서 추진 중인 15분 도시 공모 사업에 신청한 상태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