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논란의 공천’, 성적표 나온다…총선 결과에 정치 생명 달린 중진들
민주당, ‘친명 자객’ 등 생존 여부에 따라 이재명 책임론 갈려
국민의힘, 수도권 최전선 나섰던 차기 대권주자 운명도 결정
4·10 총선과 관련, 여야를 뒤흔든 ‘공천 파동’의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친명(친이재명) 횡재’ 논란이 거셌던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총선 결과에 따라 계파 갈등의 최종 결론이 난다. ‘중진 재배치’와 ‘수도권 지원’에 힘을 쏟은 국민의힘은 총선 결과에 따라 ‘차기 대권 주자’의 정치적 생사가 결정된다.
민주당은 ‘친명 자객’의 생존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자객 출마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지역은 경기 안산갑의 양문석 후보다. 친문(친문재인)계 전해철 의원을 경선에서 누른 양 후보는 ‘편법 대출’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등 각종 논란을 일으키면서 민주당 전국 판세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됐다.
양 후보에 대해 후보 사퇴 요구가 거셌지만 당무를 총괄 위임받은 이재명 대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양 후보가 총선에서 낙선할 경우 곧바로 이 대표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될 전망이다. 반면 당선될 경우 이 대표는 책임론에서 벗어나게 되고 양 후보는 국회의원 신분으로 편법 대출 관련 검찰 조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친문계 간판급 인사인 홍영표 의원과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컷오프된 인천 부평과 서울 중성동갑도 민주당의 관심 지역이다. 특히 홍 의원의 경우 새로운미래로 당을 바꿔 출마한 상태여서 ‘생환’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 밖에 비명계 이수진 의원과 설훈 의원이 컷오프된 서울 동작을과 경기 부천을 역시 선거 결과에 따라 민주당의 권력 지형에 영향을 준다. 민주당 친문계의 경우 부산·경남 지역 현역 의원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공천에서 배제돼 총선이 민주당 승리로 마무리돼도 당내 입지가 급격히 줄어들 전망이다.
국민의힘에선 수도권 선거를 위해 ‘전진 배치’된 ‘차기 대권 주자’들의 정치적 미래가 이번 총선에 의해 결정된다. 국민의힘은 ‘중진 재배치’ 등의 전략을 펴면서 수도권 전략 지역에 다선 의원을 집중 배치했다. 이 가운데 당이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임명하며 힘을 실어준 원희룡, 안철수, 나경원 후보에게 관심이 집중된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명룡 대전’을 벌인 원 후보의 경우 당선되면 차기 대권 경쟁에서 선두권으로 나설 수 있다. 원 후보는 낙선하더라도 당을 위해 희생했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정치적 지분을 확보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반면 안 후보의 경우 민주당 이광재 후보와의 대결에서 승리해도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패할 경우 정치생명이 위협받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안 후보가 당선되고 국민의힘이 참패할 경우 당내 ‘대안세력’의 중심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
나 후보의 경우 민주당 류삼영 후보를 꺾고 승리할 경우 ‘화려한 현역 복귀’가 가능해진다. 원내대표를 지낸 수도권 여성 중진인 나 후보는 당권 경쟁에도 나선 경험이 있어 차기 당권 도전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내에서 비주류로 분류되는 나 후보는 낙선할 경우 정치적 활로를 찾기 어려울 전망이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