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부터 집값 하락 추세, 2050년에는 13% 빈집”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세미나서 제기
“가구수 2039년, 주택수요 2040년 정점”
일본 교수 “신도시보다 콤팩트 시티 필요”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잠실 일대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잠실 일대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오는 2040년부터 국내에 빈집이 급격히 늘어나며 집값이 장기 하락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건설사업관리(PM) 전문기업인 한미글로벌과 인구문제 연구소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23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개최한 세미나에서 이용만 한성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국내 가구 수가 2039년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인구가 자연감소하고 있지만 1인 가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국내 가구 수는 2039년 2387만 가구로 정점을 찍을 것”이라며 “2040년 쯤에는 총 주택수요량도 정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그 이후 주택 가격은 하락 추세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별로 총 주택수요량의 정점 시기가 달라 수도권은 하락 시기가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반해 지방은 하락 추세가 더 일찍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2040년 이후부터는 빈집이 급격히 늘어나며 2050년에는 전체 재고의 13%가 빈집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주택 유동화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고령층 가구가 작은 평수로 집을 옮기는 주택 다운사이징을 하면 세제 혜택을 제공해 세대 간, 가구원 수 간 주택의 미스매치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차액을 연금으로 전환하면 안정적인 노후 소득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선 우토 마사아키 도쿄도시대 도시생활학부 교수가 한국보다 먼저 저출산·고령화를 경험한 일본의 사례를 소개하며 기존 도심을 고밀도로 개발하는 ‘콤팩트 시티’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토 교수는 “인구 감소는 주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은 오피스시장”이라며 “일본의 경우 수도권인 도쿄권의 주택자산 가치가 2045년에는 2019년 대비 30% 하락하며 94조엔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집값 낙폭과 출퇴근 시간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특히 출퇴근 시간이 60분 이상이면 집값이 가파르게 하락한다고 주장했다.

우토 교수는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보다 기존 도심을 고밀 개발하는 콤팩트 시티가 주택 자산 가치를 방어하고 고령화에 대비하기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