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병 등 과수 병해충 예찰에 경상대 등 지역대학 7곳 참여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농촌진흥청 11월까지 전국서 진행
사과 배 복숭아 배 감귤 등 7개 작물
오토롤트랩 등 첨단 기술·장비 활용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오토롤트랩. 기계가 스스로 트랩을 교체하고, 해충 모습을 수집·저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다.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오토롤트랩. 기계가 스스로 트랩을 교체하고, 해충 모습을 수집·저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다.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은 과수·채소의 병해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역대학 9곳과 협력해 병해충 예방관찰(예찰)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참여하는 대학은 경상국립대와 가천대, 단국대, 강원대, 충북대, 전북대, 전남대, 경북대, 제주대다.

이번 예찰 활동은 경상권 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등 4개권역 32개 시군에서 11월 말까지 펼쳐진다.

예찰 대상은 사과 배 복숭아 배추 감귤 단감 고추 등 7개 작목이며, 중점 관리 병해충은 탄저병, 복숭아심식나방, 노균병, 고추바이러스병 등 32종이다.

이번 예찰에는 현장에서 신속히 병원균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는 ‘등온핵산증폭기술을 이용한 식물병 현장 간편 진단 기술’과 원격 해충 예찰 장치(오토롤트랩) 등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등온핵산증폭기술은 시약이 특정 병원균의 유전자와 반응해 형광색을 내거나 색깔이 변하면서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고가의 분석 장비 없이 농업 현장에서 식물병을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오토롤트랩은 기계가 스스로 트랩을 교체하고, 해충 모습을 수집·저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다.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휴대전화와 컴퓨터로 병해충 포집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이달 말까지 전국 과수 주산지역 시군농업기술센터 담당자와 대학 소속 병해충 전문가를 대상으로 탄저병을 포함한 과수 병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현장 교육을 진행한다.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권철희 국장은 “대학, 민간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식물 병해충 피해로 인한 과수·채소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가 최소화되도록 예찰과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