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자판정 가장 많은 건설사 현대엔지니어링
국토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 결과 공개
6개월간 비율 높은 곳은 삼도종합건설
판정건수로는 재현건설산업 등 뒤이어
올들어 6개월간 국토교통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서 하자판정을 가장 많이 받은 건설사는 현대엔지니어링이었다.
국토부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신청된 공동주택 하자 처리 현황과 주요 건설사별 하자판정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하심위는 2019년부터 연평균 4400여 건의 하자 분쟁사건을 처리했으며 올들어서는 8월까지 3525건의 하자를 처리해 예년보다 약 20% 더 많았다.
‘하자심사’는 2019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총 1만 2771건이었으며, 이 중 실제 하자로 판정받은 비율은 64%였다.
주요 하자 유형을 살펴보면 기능 불량(14.01%), 들뜸 및 탈락(12.1%), 균열(10.7%), 결로(8.4%), 누수(7.8%), 오염 및 변색(7.3%) 순이었다.
올들어 3월부터 8월까지 최근 6개월을 기준으로 ‘하자판정 비율’이 높은 상위 건설사는 삼도종합건설(888%) 태곡종합건설(657%) 우리피엠씨종합건설(588%) 유명종합건설(400%) 라임종합건설(271.4%) 순이었는데 아파트 세대수가 50호 미만인 소규모 건설사가 주였다.
여기서 %는 세대수 대비 세부하자판정 비율을 말한다. 즉 세대수가 50호인데 하자판정이 200건이면 400%가 된다.
또 최근 6개월간 ‘하자판정건수’가 많은 건설사는 현대엔지니어링(118건) 재현건설산업(92건) 지브이종합건설(80건) 라임종합건설(76건) 삼도종합건설(71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최근 5년 누계기준으로 하면, 상위 건설사는 GS건설(1639건) 계룡건설산업(590건) 대방건설(523건) 에스엠상선(491건) 대명종합건설(361건) 순이었다.
국토부는 “이번에는 지난 두 차례 발표에서 기준으로 삼았던 ‘하자판정 건수’ 외에 ‘하자판정 비율’이 높은 20개 건설사 명단을 추가로 공개하고,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에 대한 하자판정 결과도 별도로 제공했다”고 밝혔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