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포레스트 테크데이 가 보니…로봇이 조립·운반부터 감시까지
미리 본 공장의 미래
현대차그룹 신기술 집약 전시회
UAM 기술 공개, 로봇개 시연도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으로 전환
생산 속도 향상·비용 절감 기대
로봇개가 공장 내를 돌며 감시하고, 로봇이 차량 부품을 조립·점검·운반하고….
21일 현대차·기아의 경기도 의왕연구소. 신기술 전시회 ‘E-포레스트 테크데이 2024’의 미디어데이에서 선보인 현대차그룹의 현주소다. 자동차 제조 전반을 아우르고 공장을 감시하는 역할이 이제 사람 대신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다.
E-포레스트 테크데이는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DF)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현대차그룹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다.
올해 5회째인 E-포레스트 테크데이는 현대차·기아 제조솔루션본부과 협력사가 제조 기술 혁신을 통한 SDF 구현 가속화를 위해 연구개발(R&D)하고 있는 성과를 공유하는 행사로, 22일부터 24일까지 의왕연구소에서 열린다.
E-포레스트는 고객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것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제조시스템 혁신을 추구하는 현대차와 기아의 스마트공장 브랜드다. AI와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 인간 친화적 스마트 기술을 도입해 제조 시스템을 혁신하고 모빌리티 산업 전체를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SDF는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운영하는 민첩하고 똑똑한 공장을 말한다. 생산공장의 데이터 연결과 디지털 전환을 통해 고객 요구사항이 반영된 제품을 누구보다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향후 SDF가 구축되면 생산 준비기간 단축을 비롯해 생산 속도 향상, 신차 투입 시 투자 비용 절감, 품질 향상 등의 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 이재민 이포레스트 센터장은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연결되고 활용하냐에 따라 제조 지능을 좌우한다”며 “이 제조 지능이 기업의 성장과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테크데이에는 제조 AI와 디지털 트윈, 물류·조립 자동화, 로보틱스 솔루션,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제조기술 등 다양한 혁신 기술 200여 건이 전시됐다.
지금까지 사람이 하던 작업들을 로봇이나 AI 기술이 대신하면서 완성도를 높이고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날 공개된 핵심 기술로는 스팟 인더스트리 와이드 솔루션,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날개·동체 자동 정렬 시스템, 무한 다축 홀딩 픽스처(고정장치)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공개됐던 로봇개 스팟의 시연 모습도 바로 눈앞에서 볼 수 있었다. 스팟은 개집처럼 생긴 박스에서 나온 뒤 블록벽돌 장애물이 있는 공장 내 이곳저곳을 헤집고 다녔다. 사람이 누워있다거나 열이 감지될 경우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그동안 국내외 모빌리쇼에서 선보였던 UAM 관련 기술도 이날 공개됐다. 동체와 날개 자동 정렬 시스템으로, 차량 대비 10~100배 이상의 조립 정밀도를 요구하는 UAM의 특성을 고려해 고중량의 UAM 동체와 날개를 1㎛(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자동 정렬해 가며 정밀 체결하는 기술이다. 통상 3~5일 소요되는데 이를 단 몇 시간 작업으로 단축할 수 있다.
무한 다축 홀딩 픽스처 기술은 한때 인기였던 TV 애니메이션 ‘형사 가제트’의 팔처럼 차량 부품을 고정하는 장치가 늘었다 줄었다 하며 자동차 도어를 고정해 조립·점검하는 것으로, 이 기술은 장영실상을 받기도 했다.
의왕연구소 선행생기센터 이광호 책임매니저는 “도어, 후드, 휠 등 각종 파트를 조립하기 위해 기존에는 각 파트에 맞는 고정장치가 별도로 필요했다”면서 “이를 하나의 픽스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해줘 픽스처 제작 비용 절감은 물론 공장 유연화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약 9000명의 현대차그룹 임직원, 협력사, 대학·정부 연구기관 등이 이포레스트 테크데이에 참가해 미래 제조 공장을 선도할 신기술을 공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