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 전쟁’ 터졌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캐나다·멕시코 25%, 중국 10% 부과
예고한대로 총성 없는 관세전쟁 포문
트럼프 선공에 캐·멕·中 보복선언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일(현지시간)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지난 1일(현지시간)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대로 ‘관세 전쟁’ 신호탄을 쏘아 올리면서 캐나다, 멕시코, 중국은 물론 한국 기업에도 비상이 걸렸다.

2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오는 4일부터 캐나다의 에너지 제품에 10%, 그 밖의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멕시코에 대해서는 에너지류를 포함한 모든 제품에 25%,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보편 관세가 매겨진다.


트럼프 대통령의 여러 차례 예고에도 마지막까지 설마 하는 마음으로 지켜보던 상대국들은 관세 부과가 공식화하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1550억캐나다달러(약 156조 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또 캐나다 국민을 향해서는 미국산 대신 자국산 제품을 구매하고, 여름휴가를 미국 말고 국내에서 보내자며 애국심에 호소했다. 캐나다 주지사들도 연방정부의 대응에 전폭적으로 협조하겠다며 잇달아 자체적인 제재를 발표하고 나섰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며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대응에 나섰다.

중국 역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보복과 국제법적 조치를 병행하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담화문을 통해 "미국의 일방적인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미국의 잘못된 처사에 대해 중국은 WTO에 제소할 것이고, 상응한 반격(反制) 조치를 취해 자기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모든 관세는 기존에 부과된 관세에서 추가되는 개념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 3개국에서 들어오는 제품이 미국 수입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보도했다.

앞서 세계은행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가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나라가 상응 조치를 취할 경우, 올해 경제성장률이 전망치(2.7%)보다 0.3%포인트(P)가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