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 대란 속 허위 예약 ‘알박기’ 의혹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발장 접수돼 경찰 수사 나서
1명이 연간 100회 취소 사례도
재발 방지 위한 제재 방안 필요

부산 금정구 영락공원 화장장에서 유족들이 대기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부산 금정구 영락공원 화장장에서 유족들이 대기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부산에서 장례식장 대표가 화장예약 시스템에 허위로 예약해 화장장을 선점했다는 의혹이 나와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최근 독감 등 호흡기 질환 사망자 급증으로 화장장 예약 대란이 발생하면서 관련 범죄 의혹까지 나온 셈이다.


부산진경찰서는 업무방해 등 혐의로 30대 장례식장 대표 A 씨를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경찰은 최근 A 씨가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화장장 예약 시스템에서 허위로 예약해 화장장을 선점했다는 내용의 고발장을 접수했다. 고발장에는 A 씨의 행위로 다른 장례식장이나 개인 장의사들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다만, A 씨는 이에 대해 허위로 예약했다 취소한 적이 없으며 경쟁 업체가 악의적인 소문을 퍼트린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영락공원에 따르면 화장장 예약 취소 건수는 지난해 월평균 174건에서 지난달 472건으로 3배가량 급중했다. 한 사람 이름으로 1년 동안 많게는 예약을 100번가량 취소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는 장례식장이 화장장 예약 시스템에서 상주를 대신해 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장장을 예약하려면 보건복지부가 통합 운영하는 화장장 예약 시스템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을 이용해야 한다. 화장장을 옮기는 경우에 대비해 화장 예약을 취소해도 별다른 불이익이 없다. 일부 장례업체는 이런 맹점을 이용해 예약을 선점하는 이른바 ‘알박기’를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재발 방지를 위해선 예약 취소 사유나 횟수를 제한하고, 상습적으로 취소하는 업체들에 대한 제재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회 차원에서도 시스템 문제 개선을 위한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백종헌(금정) 의원은 보건복지부에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설공단 관계자는 “경찰 수사가 시작된 만큼 공단에서 문제점을 파악 중”이라며 “부산시와 협의해 보건복지부에 개선 방안 마련을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