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회 최대 관심사는 AI
발전 촉진법 등 제안 봇물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인공지능(AI)이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4일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와 중국청년보, 신경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표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들은 개막 전부터 AI의 활용과 안전에 관한 다양한 제안을 쏟아냈다.
정협위원인 리징훙 칭화대 교수는 AI 혁신·발전을 위해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고자 “(AI의) 효과적인 적용 촉진, 포용적 서비스, 기술 혁신, 인재 양성, 국제 협력에 초점을 맞춘 AI 진흥법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글로벌타임스에 말했다. 리 위원은 AI촉진법이 “AI 개발에 대한 이해 부족, 관련 법률·규정·정책 조정 지연, 양질의 데이터 공급·보호 부족,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문제 해결도 다뤄야 한다”고 부연했다.
교육·의료분야에 AI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관련 방안도 여럿 나왔다. 전인대 대표인 팡푸취안 수도사범대 총장은 AI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우리 학교는 AI 학부를 준비하고 있다. 학생들이 AI 파악 능력을 높여 향후 교육일선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 활용에 보다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베이징대 제3병원 정형외과 수석인 류중쥔 전인대 대표는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의사들의 의료기록 작성, 의료영상 분석, 방대한 문헌·데이터 처리에 AI를 활용하고 있지만 AI의 정확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의학적 치료에 AI를 도입하는 데에는 우려를 표했다.
전인대 대표인 리둥성 TCL 창업자 겸 회장은 AI를 이용한 딥페이크 사기를 방지 강화 방안을 이번 양회에서 제안할 예정이다. 그는 딥페이크 동영상과 오디오에 별도 표시를 의무화해야 하며 콘텐츠 플랫폼도 관련 조치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