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도시’ 사업, 주민 주도 방안 모색[부산형 15분 도시 진단]
부산시가 박형준 부산시장의 1호 공약인 ‘15분 도시’ 조성사업을 2021년 이후 3년째 추진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제약이 많아 정책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비전과 발전전략을 마련하고 전담팀을 구성해 해피챌린지 시범사업, 비전투어 등의 대시민 홍보 작업까지 펼치고 있지만, 부산의 지형적 특성과 불규칙한 도심 구조, 자동차 이용에 익숙한 시민들의 인식을 바꾸기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7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2021년 박형준 시정 출범 이후 ‘부산형 15분 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후 9개월 동안 부산형 15분 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전과 전략, 중점 추진과제를 포함하는 기본구상안을 마련했다. 15분은 반경 750m 내외를 여유롭게 걸을 수 있는 생활 속 짧은 시간이면서, 일상에서 큰 어려움 없이 도달할 수 있는 목적지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숫자다.
시는 지난해 3월 정책 비전을 발표했고, 8월 전담조직 15분도시추진단을 신설했다. 접근성·연대성·생태성 개선을 목표로, 15분 이내 이동과 생활이 가능한 단위 생활권을 62개로 분류했다. 이 중 3~5개 대표생활권을 조성하는 해피챌린지 사업도 시작했다. 또 시민들을 직접 만나 정책 공감대를 높이는 비전투어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인구 77%가 10도 이상의 경사지에 거주하는 부산은 지형적 특성 탓에 15분 도시가 지향하는 이동성 실현이 쉽지 않다. 평지에 방사형으로 계획된 도시라면, 도보 또는 자전거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지만, 경사지는 교통수단에 의존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산복도로에 살고 있는 인구 30% 이상이 보행에 취약한 고령층인 탓에 부산은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본다.
또 생활권 내 학교 개방 문제도 부산시교육청과 논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진척이 없다. 아울러 공동체 회복과 연결을 강조하는 15분 도시 사업을 주민 주도로 활성화할 방법도 찾아야 한다.
부산연구원 오재환 선임연구위원은 “15분 도시는 지속가능한도시를 위한 글로벌 트렌드다. 부산이 선두로 15분 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십 년이 걸리는 장기 계획으로 착수 단계인 시점에서 아직 갈 길이 멀다. 특히 시민들이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실험적인 사업들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