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 최종 확인(종합)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 성공…11월부터 임무 수행
약 500km 상공서 한반도와 관심지역 촬영
나머지 10기 위성도 2026년·2027년 후속발사 예정
2027년부터 군집형태(총11기)로 지구관측 임무 수행


국산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이 한국시간 24일 오전 7시 32분(현지 시각 24일 오전 10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로켓랩 유튜브 캡처. 연합뉴스 국산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이 한국시간 24일 오전 7시 32분(현지 시각 24일 오전 10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로켓랩 유튜브 캡처.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오전 07시 32분께(현지시간 오전 10시 32분께)에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된 ‘초소형 군집위성 1호’ 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고 이날 오후 밝혔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이날 발사 후 4시간 25분인 오전 11시57분께(한국시간), 항우연의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 및 오후 3시 44분께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위성 발사가 성공했음을 확인했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는 앞으로 위성의 기능별 점검 등 초기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



정부가 처음 양산을 위해 개발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가 24일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우주 궤도에 안착했다. 사진은 초소형 군집위성 모형도.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처음 양산을 위해 개발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가 24일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우주 궤도에 안착했다. 사진은 초소형 군집위성 모형도.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당초 계획한 궤도(약 500km 상공)에서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 동안 점검할 계획이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올해 11월부터 1호 위성은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초소형 위성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하는 사업으로, KAIST가 (주)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했으며,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 및 활용시스템을 개발했다.

민간 우주 시대에 걸맞게 향후 경제성있는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부품을 많이 활용하면서 경량화·저비용화·저전력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3년 이상 약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흑백 1m급, 컬러 4m급의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이번에 발사 성공된 1호 위성을 시작으로 2026년 및 2027년에 5기씩 총10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될 예정이다. 2027년 하반기부터 총 11대의 위성이 군집의 형태로 운영‧활용될 경우 한반도를 하루 3번 이상 관측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중대형 지구관측위성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은 개발‧제작‧발사 전 과정에 걸쳐 산학연 역량이 결집된 결과”라며 “후속위성들도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게 차질없이 개발해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고 우주산업을 지속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