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6월4일 전에 정찰위성 쏠 것"…한일중 정상회의 직전에 통보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7일 새벽 일본에 위성 발사 위한 해상 위험구역 3곳 설정 통보
일, ‘항행 경보’…한미일 3국 “유엔 안보 결의 위반” 중단 촉구
한미일-북중러 대치 부각하며 중국 태도 변화 조짐에 ‘견제구’ 보내려는 듯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환영만찬에서 만찬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환영만찬에서 만찬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27일부터 내달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공언했다. 북한은 서울에서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27일 직전 이런 입장을 밝혔는데, 3국 간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한 논의 움직임을 겨냥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교도통신과 현지 공영방송 NHK 보도에 따르면 일본 내각관방은 27일 새벽 북한이 이날부터 내달 4일 사이 로켓을 발사하겠다며 그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는 입장을 통보해 왔다고 밝혔다. 통보된 위험구역은 북한 남서쪽 서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 등 총 3곳으로,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이다.

이에 일본 해상보안청은 현지시간 이날 0시부터 내달 4일 0시까지 3개 해역에 항행경보를 내리며 선박에 낙하물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또 서울에 머물러 있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의 위성 발사 통보에 정보 수집과 분석에 만전을 기하고 한미 등과 협력해 발사 중지를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만전의 태세를 확립하라고 관련 부서에 지시했다. 일본 방위성은 발사체가 일본 영역에 낙하하는 사태에 대비해 자위대 요격 미사일 부대 등을 전개하고 있다.

한미일 3국은 북한의 통보에 전화 협의를 하고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는 어떤 목적으로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북한에 중단을 요구한다고 확인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에도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이번과 같은 해역을 해상 위험구역으로 설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해 궤도에 위성을 올린 뒤 올해 추가로 3개를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이와 관련,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이날 서울에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고 3국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이 있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서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준비 중인 정황이 최근 우리 군 당국에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논의가 주목되는 상황에서 북한의 위성 발사 예고는 한미일-북중러 대치선을 부각하면서 북중러 3각 공조 체제의 ‘약한 고리’인 중국에 견제구를 보내려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이번 정상회의 결과물이나 관련 각 정상의 메시지에서 이번 북한의 통보를 둘러싸고 일치된 목소리가 나올지 주목된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