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동물단체 "부산시·강서구청 무관심이 동물 학대 낳았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개 번식장 적발 관련 기자회견
행정 당국에 단속 강화 등 촉구

22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부산 강서구 불법 개 번식장 관련 후속 조치를 요구하는 시민단체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동물보호단체연대 제공 22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부산 강서구 불법 개 번식장 관련 후속 조치를 요구하는 시민단체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동물보호단체연대 제공

20여 년간 불법적으로 운영된 부산 강서구 개 번식장(부산일보 10월 18일 자 8면 보도)이 적발되자 시민단체와 동물보호단체가 관련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와 동물보호단체연대 ‘루시의친구들’은 22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와 강서구청에 불법 동물 생산, 유통, 판매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루시의친구들 측은 강서구 불법 번식장은 전국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참혹한 현장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보령시, 화성시 등에서 불법 번식장들을 적발, 폐쇄시키며 그 열악함을 숱하게 목격했지만 이보다 더한 상황은 없었다”며 “현장에는 죽기 일보 직전의 상황에 놓인 동물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루시의친구들 측은 지자체의 무관심과 방조가 동물 학대의 현장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루시의친구들에 따르면, 관할 행정기관인 부산시와 강서구청은 해당 번식업자의 동물학대와 불법 영업 행각을 인지하면서도 고발이나 행정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동물권행동 카라 김현미 국장은 “지난해 동물학대로 1420여 마리가 구조된 화성 번식장 사태가 우리 사회에 파장을 일으킨 지 1년이 넘어가지만, 정부의 유명무실한 정책과 지자체의 직무 유기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루시의친구들 측은 부산시가 즉각 전수조사와 함께 피학대동물의 보호 조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동물보호단체 라이프 심인섭 대표는 “부산시는 행정 당국의 권한으로 김해시와 협력해 해당 번식업자의 생산업 허가를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동물생산업 관련 단속 강화와 함께 수십 년 간 모르쇠로 일관한 강서구청 책임자 엄책 등 조치에 나설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