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3년 낙동강협의회 몸집 커진다…밀양시 가입 신청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양산시, 낙동강협의회에 밀양시 가입 신청해 관련 절차 진행
가입이 확정되면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 7곳으로 늘어


낙동강협의회가 지난해 11월 27일 경남 김해 롯데엔리조트에서 ‘낙동강권역 공동 번영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발안’을 주제로 두 번째 컨퍼런스 진행 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양산시 제공 낙동강협의회가 지난해 11월 27일 경남 김해 롯데엔리조트에서 ‘낙동강권역 공동 번영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발안’을 주제로 두 번째 컨퍼런스 진행 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양산시 제공

경남 밀양시가 낙동강 하구에 있는 부산·경남 지역 6개 자치단체 협의회인 낙동강협의회에 가입신청을 해 결과가 주목된다.

낙동강협의회 회장 자치단체인 양산시는 최근 밀양시가 낙동강협의회 가입을 신청해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밀양시가 낙동강협의회에 가입하기 위해 협의회 소속 자치단체의 동의는 물론 관련 규약을 개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이번 주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에 서면으로 동의를 얻기 위해 공문을 발송했다. 이 결과 자치단체들이 밀양시 가입에 동의하면 낙동강협의회에 밀양시를 추가하는 규약을 개정하게 된다.

규약 개정이 완료되면 시·구 의회에 보고한 후 고시와 함께 부산시와 경남도에 보고하면 가입 절차가 완료된다.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들은 시·구의회에 보고만 하면 완료되지만, 밀양시는 낙동강협의회 가입 시 내야 하는 분담금(6000만 원) 때문에 의회 동의를 구해야 한다.

밀양시의 낙동강협의회 가입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밀양시는 애초 낙동강협의회 출범 직후 가입을 희망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가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밀양시의 가입이 확정되면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는 부산 4곳, 경남 3곳 등 7곳으로 늘어난다.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들이 지난해 10월 하반기 정기회를 개최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양산시 제공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들이 지난해 10월 하반기 정기회를 개최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양산시 제공

양산시는 또 밀양시가 가입 동의를 얻으면 지난해 하반기 낙동강협의회 정기회에서 결정한 ‘낙동강 권역 발전 전략 연구용역’에 밀양시를 포함할 예정이다. 용역은 다음 달 중에 발주되며, 기간은 발주 후 1년이다.

용역에는 낙동강협의회 소속 자치단체가 함께 할 수 있는 사업은 물론 각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하게 된다. 중앙부처와의 교감은 물론 협의 도출과 수변 가이드라인도 제시된다. 낙동강 권역 6개 자치단체의 도약을 위한 구체적 방안도 마련된다.

낙동강협의회는 낙동강 하구에 있는 부산 북구와 사상구, 강서구, 사하구, 경남 양산시와 김해시가 상생협력을 통해 낙동강 권역의 공동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 번영을 위해 만든 행정단체다. 2022년 양산시의 제안으로 같은 해 10월 낙동강협의체로 출범한 뒤 이듬해 12월 협의체를 전담할 사무 인력과 예산을 갖춘 낙동강협의회로 격상됐다.

낙동강협의회는 지난해 모바일 스탬프 사업 등 공동사업 시행과 미국 뉴욕 허드슨강 벤치마킹을 다녀왔고, 올해도 지난해 큰 인기를 끌었던 모바일 스탬프 사업 재시행과 자전거 스탬프 투어사업 등을 진행한다.

양산시 관계자는 “밀양시 가입은 소속 자치단체의 동의와 의회 보고, 경남도와 부산시 보고를 거쳐야 해 7월에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