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못 정한 표 많다, 대선 최대 승부처는 PK”
여야는 내년 3·9 대선 대진표가 완성되면서 이번 레이스의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부산·울산·경남(PK) 민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까지는 여론조사 지표상 국민의힘이 우위에 있지만 여전히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두꺼운 만큼 막판까지 결과를 예단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PK에서는 국민의힘의 우세가 점쳐진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달 15~16일 ARS(자동응답시스템)로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국민의당 안철수, 정의당 심상정, 새로운물결(가칭) 김동연 등 5명의 후보를 가상으로 대결에 붙인 결과(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 윤 후보가 35.2%로 이 후보(25.6%)를 앞섰다. 이어진 조사(22~23일)에서는 두 후보의 격차(윤 후보 32.7%, 이 후보 31.7%)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지만, 같은 달 29~30일 조사에서는 윤 후보(37.7%)가 이 후보(27.0%)를 따돌렸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로는 국힘이 우위
지난달 말 5명 후보 가상대결 여론조사
윤석열 37.7%로 이재명 27.0%에 앞서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 59% 달해
부동층 비율 높아 막판까지 예측 불가
아울러 대선을 예측하는 지표로 꼽히는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도 국민의힘에 유리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나 PK의 경우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가 전국 평균보다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8~9일 진행된 조사에서 전국의 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 응답자는 53.3%에 불과했지만 부울경의 경우 59.5%에 육박했다. 일주일 지난 2주 차 조사(15~16일)에서도 문 대통령 국정 수행 부정 응답자는 전국 57.3%였지만 PK에선 59.1%를 기록했다. 이 같은 격차는 3주 차(전국 부정 평가 55.4%, PK 62.6%)에 7.2%포인트(P), 4주 차(전국 부정 평가 56.6%, PK 64.2%)에 7.6%P로 더욱 벌어졌다.
이 같은 경향은 여권에 다소 유리한 조사 방식으로 꼽히는 전화면접에서도 나타난다. 전문가들은 전화면접이 여권에, ARS 조사는 야권에 다소 유리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는 이른바 ‘샤이 보수’가 전화면접에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한국갤럽이 전화면접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지난달 5~7일 실시한 1주 차에는 전국의 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가 54%(긍정 37%), 부울경 56%(긍정 33%)로 격차가 크지 않았지만 같은 달 26~28일 조사에서는 전국(55%)과 PK(65%) 부정 응답자 격차가 10%까지 늘어났다.
이처럼 조사 방식을 막론하고 PK 민심은 국민의힘의 손을 들어주는 듯하지만 결과를 결코 예단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전히 부동층 비율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가상 5자 대결 구도에서 20%가량이 ‘기타 후보’를 택하거나 10% 안팎은 여전히 ‘지지 후보 없음’ ‘잘 모름’ 이라고 응답했다.
정치권에서는 대표적 ‘스윙 스테이트’(경합지)로 꼽히는 PK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이미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지난달 내년 대선 필승 전략으로 PK 총력전을 예고한 바 있다. 그는 지난달 14일 국회 앞 한 음식점에서 가진 <부산일보> 등 지역 언론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번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PK에서 우리 후보가 70%를 득표해야 한다”며 “이번 대선의 최대 승부처는 PK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러면서 “PK 공략을 위해 지역 공약도 상당히 공격적으로 준비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도 비슷한 상황이다. 민주당은 이 후보 캠프 선대위 주요 직책에 PK 현역 의원들을 포진 시킨 것 외에도 부산대 총학생회장 출신의 윤용조 경기도 통일비서관 등 부산 출신 인사들을 중앙 선대위와 부산 선대위에 배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민주당은 PK 맞춤형 '공약 보따리'도 공개한다. 이 후보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인 이광재(강원 원주갑) 의원은 지난 5일 가덕신공항 주변 개발 예정지 범위를 기존 10㎞에서 20㎞로 확장하고, 주변 개발예정지역에 물류시설을 설치하는 기업에게 비용을 지원하는 '가덕신공항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한 데 이어, 오는 8일에는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정안에 대한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