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둔 미군 ‘무게 중심’, 중동·유럽에서 인도태평양으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미국이 전 세계 미군 배치를 소폭 조정하면서 ‘중국 견제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철군 엄포까지 했던 주한미군의 경우 현 상태에서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방부가 29일(현지시간) 공개한 미 ‘글로벌 배치 검토’(GPR) 결과에 따르면, 대규모 재배치는 없을 예정이지만 중국에 대한 견제 전략이 해외주둔 미군 배치에 그대로 반영될 예정이다.

美국방부 ‘글로벌 배치 검토’ 공개
바이든 행정부, 中 포위 전략 강화
주한 미군은 현 상태 유지 유력

국방부 고위 당국자는 이번 검토의 주된 초점이 중국이었다고 노골적으로 말할 정도다. 미국 안보정책의 무게중심이 과거 중동과 유럽에서 중국이 위치한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확연히 옮겨가고 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CNN방송 등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국방부는 괌과 호주의 인프라를 증강하고, 태평양 섬 지역에 걸쳐 군사 건설을 우선순위에 두기로 했다. 또 GPR에는 인도태평양의 전투 준비태세 향상을 위해 다른 지역의 군대와 장비를 감축함으로써 이 지역에 좀 더 초점을 맞춘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향후 이 지역에 추가적인 군사력 강화를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런 흐름은 바이든 행정부 들어 지난 9월 호주, 영국과 안보 동맹체 ‘오커스’(AUKUS)를 출범하고, 일본, 인도, 호주와 중국 견제 협의체로 알려진 쿼드(Quad)를 정상 회의체로 격상시키는 등 계속된 중국 포위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동북아에 위치한 주한미군의 경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감축 내지 철군 엄포까지 있었지만 현 상태에서 변화를 주지 않기로 했다. 대신 그간 순환배치 대상이던 포병여단 본부, 아파치 헬기 부대는 상시주둔배치로 귀결됐다. 양적인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질적인 면에서 실질적인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AP통신은 이번 GPR 결과에 대해 아프간 철군을 마치긴 했지만, 아시아태평양에서는 중국, 유럽에서는 러시아 대응 문제에 관한 우려가 커지는 바이든 행정부의 복잡한 안보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현정 기자·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