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관광·비즈니스 중심’ 원론적 입장… 랜드마크 사업 해법 제시 못 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현안 '딥'풀이] 4. 북항 재개발

부산의 역사를 바꿀 초대형 프로젝트인 북항재개발 사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1단계(153만㎡) 핵심인 랜드마크 부지는 10년 넘게 방치되고, 2단계(228만㎡) 사업도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 1단계 랜드마크 부지와 관련한 의 서면 질의에 주요 대선후보들은 K문화단지 조성, 해양신산업 육성, 유라시아 컬처 플랫폼 조성 등을 제시했다. 2단계 사업 방향과 관련해서는 금융·관광·비즈니스 등이 결합한 중심지로 특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체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재명 “K문화단지 조성 검토”
윤석열 “해양산업 일자리 창출”
안철수 “문화 예술 핵심 시설을”
심상정 “엑스포 연계 복합 공간”


■‘랜드마크’ 해법 여전히 오리무중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내 북항1단계 기반시설을 준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지만, 올 5월 준공은 이미 물 건너갔다. 특히 랜드마크 사업은 허송세월만 하고 있다. 북항재개발 1단계 핵심 지역인 랜드마크 부지(11만㎡)에는 그동안 오픈카지노(내국인 출입 허용)를 결합한 복합리조트, 돔야구장 등이 검토됐다. 그러나 수익성 문제와 난개발 우려에 막혀 무산됐고 아직까지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BPA)는 독자적으로 사업자를 찾고 있지만, 성과는 없다.

대선후보들도 뚜렷한 해법은 내놓지 못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랜드마크 부지가 부산시민에게 가장 필요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사회적 공론화와 수요조사를 해야 한다”며 “올해 기본 방향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오페라하우스와 랜드마크 부지를 연계한 K문화단지 조성 등을 검토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는 “현재 부산항만공사가 랜드마크 부지 사업화와 관리방안 수립 용역을 진행 중인데, 해양신산업을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제적 랜드마크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안철수 대선후보는 “랜드마크 부지에 국제문화예술 핵심시설이나 유라시아 컬처플랫폼 조성, 세계적인 아트페어 유치 등을 통해 부산을 글로벌 문화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는 공공성·공익성을 강조했다. 심 후보는 “랜드마크 조성 사업의 실패 원인은 수익성을 앞세운 무분별한 추진에 있었다”며 “시민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계획을 수립, 2030부산세계박람회(부산월드엑스포) 유치와 연계해 부산시민에게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2단계, 부산 강점 살린 산업 특화

북항 2단계 사업은 자성대부두, 부산역·부산진역, 동구 좌천·범일동 일대를 2030년까지 재개발하는 것이다. 전체 면적이 육상과 해상을 합쳐 228만㎡에 달한다. 육상구역 157만㎡는 부산월드엑스포 개최 예정지여서 박람회 유치를 위한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으로 아직 그림이 구체화되지 않은 북항2단계 사업에 대해 각 후보들은 부산만의 강점을 살린 금융·해운 등에 특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후보는 “금융, 비즈니스 R&D가 특화된 국제교류 중심지, 원도심과 상생하는 혁신성장 거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통해 부산만의 강점인 해양수도와 금융도시로서 특화된 비전을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후보는 “가장 중요한 것은 산업으로, 금융 경쟁력을 높이고 청년들을 위한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금융과 해운, 항만 등을 모두 가진 부산이 북항재개발로 관련 인프라를 갖춰 해외금융기관과 해운 관련 앵커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도 금융기관 이전과 해운 본사 유치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항지역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심상정 후보는 북항1단계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합의를 선결 과제로 내세웠다. 심 후보는 “2단계 사업은 3조 원이 넘는 과다한 토지비용과 미군55보급창 이전 문제까지 있어 쉽지 않다”며 “시민이 바라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통합적 커버넌스를 통한 사업계획이 우선 수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강희경 기자 himang@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