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 규제 2년… 핵심 품목 대일 의존도 크게 낮췄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9년 발생했던 일본의 대 한국 수출규제 이후, 수출규제 3대 품목의 수급차질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100대 핵심품목 등 소부장 전체 품목의 일본 의존도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8일 소부장(소재·부품·장비를 뜻하는 줄임말) 협력모델 성과기업인 경기도 안산의 율촌화학을 찾아 관련기관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 내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00대 핵심 품목의 대일 의존도는 2019년 30.9%에서 2021년 24.9%로 약 6%포인트 낮아졌다.

100대 품목 30.9→24.9% 하락
대·중소기업 협력 모델 시너지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3대 품목인 불화수소와 EUV(극자외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의존도가 급감했다. 불화수소 대일 수입액은 2019년에 3630만 달러였으나 지난해는 1250만 달러로 66%가 감소했고 EUV(극자외선) 레지스트는 벨기에산 수입 다변화 등으로 대일 의존도가 50% 아래로 떨어졌다. 불화폴리이미드는 대체소재 채택으로 대일 수입 수요가 사실상 0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소부장 전체 대일의존도는 2019년 17.1%에서 지난해 15.9%로 낮아졌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발생하자 2019년 11월 소부장 협력모델을 처음 도입한 후 그간 100대 핵심전략품목 중심으로 현재까지 총 45개의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2025년까지 3800억 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직 진행 중인 과제가 다수이지만 그간 협력모델을 통해 대·중소기업 등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례가 확산되고 있으며 핵심품목 조기 국산화 및 차량용 반도체, 희토류 등 공급망 대응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문 장관은 간담회에서 “지난 2년여 시간은 우리 소부장 산업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공급망,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소부장 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덕준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