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남의 영화세상] ‘포기’를 먼저 배우는 시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영화평론가

한국 입시 교육에서 모든 교과가 어렵고 힘들겠지만 유독 청소년들이 싫어하는 과목을 꼽자면 수학일 것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수학에 괴로워하거나 절망하던 학생들은 급기야 자신들을 ‘수포자’라고 부른다. 박동훈 감독의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를 보고 있자면 수학은 단순한 공부를 의미하지 않는다. 수포자는 인생을 포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영화 속 주인공 ‘지우’는 중학교 때까지는 공부를 잘했지만, 자립형 사립고에 입학하면서 열등감을 느끼는 고등학생으로 등장한다. 물론 지우는 홀어머니를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성실한 학생이지만, 성실함이 성적을 보상해주지 않는다.

수학을 무기 만드는 데 쓰는 북한
입시·출세 도구로 활용하는 남한
어디가 더 이상하냐 묻는 주인공
세대·이념 뛰어넘는 우정 돋보여



선생은 지우의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를 대치동 과외를 받지 못하는 ‘사배자’(사회적 배려 대상자)이기 때문이라는 말을 서슴지 않고 한다. 하지만 지우의 성적은 가난 때문이 아니라 아직 1학년임에도 3년 치의 교과 과정을 모두 끝낸 이상한 교육 현실 때문이다. 즉 돈이 없으면 지우는 아무리 공부를 해도 성적이 오를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선생은 일반고에서는 영재 소리를 들을 테니 지우에게 전학을 권유하고, 이를 심각히 고민하던 지우는 우연히 북한의 천재 수학자 ‘이학성’과 만나며 다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학교 야간 경비로 자신의 정체를 숨기며 살아가던 이학성은 지우의 끈질긴 부탁에 수학을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학성의 가르침은 답을 잘 찾는 방법과는 거리가 멀다.

지우는 아마도 이학성을 만나지 못했다면 수포자가 되어 평범한 학생으로 살아갔을 것이다. 달리 말해 지우와 학성의 만남은 현실에서는 보기 힘든 동화 같은 이야기라는 뜻이다. 동화의 특성답게 영화는 인물들의 감정 교류와 수학이라는 소재를 통해 감동을 전달한다. 하지만 탈북자와 국정원의 갈등, 우리 사회의 과잉된 입시 현상을 다루는 내용은 기존 드라마에서도 자주 다루던 주제이기에 새롭게 다가오지 않는다. 즉 ‘수학 문제 풀기’의 즐거움을 이미지로 전달하던 영화가 뻔한 이념이나 사회문제로 나아가는 것이 영화의 재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처럼 보인다.

영화에서 이학성은 질문한다. 수학을 무기 만드는 데만 쓰는 북쪽과 수학은 오직 입시나 출세로 가는 길을 열어주는 도구로 여기는 한국이라는 나라 중 어느 쪽이 이상한 나라냐고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학성은 이상한 나라에서 더 이상한 나라로 건너와 혼란에 빠진 ‘앨리스’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는 이상한 나라를 바꾸려고도, 이상한 나라임을 증명할 필요도 없다는 듯 모든 것을 포기한 사람처럼 어둠 속에서만 살고 있다. 그리고 지우가 이학성을 만나면서 새로운 삶을 살게 된 것처럼, 이학성도 지우를 만나고 다시 꿈을 꿀 수 있게 된다.

영화에서 인상적인 장면은 바로 이학성과 지우가 서로의 ‘이상함’(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아름다움으로 채우는 순간들이다. 이학성은 수학의 아름다움을 음악과 일상에서 찾아내고, 지우는 수학 문제를 천천히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수학을 마음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이때 두 사람은 세대를 뛰어넘고, 이념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 신뢰와 우정이 쌓이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수학은 증명해야 답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영화는 답이 틀려도, 증명의 과정이 옳다면 괜찮다고 말한다. 질문이 의도하는 바를 이해한다면, 답은 상관없다고 학생들에게 위로를 건넨다. 수포자였던 나조차도 다시 수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차근차근 수학을 설명하는 영화의 속도도 적당하다. 물론 영화의 강점은 이학성을 연기한 ‘최민식’이다. 어디서 많이 본 서사를 이끌고 또 클라이맥스의 감동까지 최민식이라는 배우가 있었기에 가능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