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 협력 정책’ 성과 내기 위해선 중추도시 중심 혁신 생태계 구축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핵심정책인 ‘초광역협력’이 의미를 가질 수 있으려면 비수도권 중추도시를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역량을 높이기 위한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산업연구원 ‘지역산업 혁신 전략’
특화형 산업 육성 등 과제 제시

23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초광역권에 기반한 지역의 산업혁신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과 일자리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비수도권 광역시들의 일자리 창출역량이 심각하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2015~2020년 5년간 고용성장률을 보면, 전국적으로는 연평균 0.55%씩 고용이 늘어났는데, 인천(0.77%)을 제외하고는 부산 등 6개 모든 광역시의 고용성장률이 마이너스이거나 광주(0.13%)처럼 미세하게 플러스를 보이는 데 그쳤다. 6개 광역시별로 보면 대구(-1.05%), 부산(-0.43%), 울산(-0.27%), 대전(-0.02%) 순으로 고용성장률이 저조했다.

특히,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며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지식서비스업 3대 업종 즉, 소프트웨어 및 정보서비스, 영상·방송·창작예술업, 연구개발 및 전문서비스업의 경우 전국 종사자 수가 2015~2020년 5년간 31만 3000명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수도권에서 순증가한 종사자 수가 25만 2000명으로 전체의 80.4%를 차지했다.

직무상 관리자 그룹과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그룹의 일자리도 최근 5년간 순증가의 75.8%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보고서는 “초광역권 정책이 성과를 낼 수 있으려면, 17개 시·도로 분산하는 것이 아니라 초광역권의 중추거점도시(메가시티)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이 가능한 수준의 혁신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현수 기자 song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