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로 지역구 사라질라”… 부산 정치권, 18석 사수 ‘특명’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내년 1월 31일 선거구 획정 기준일
총선 출마자 정치 생명과 직결 사안
강서구 독립·북구 분구 여부가 관건
선거구 조정 따라 대진표도 큰 변화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와 미래통합당 심재철 원내대표, 민주통합의원모임 유성엽 원내대표가 21대 총선 직전인 2020년 3월 4일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선거구획정안관련 3당 원내대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와 미래통합당 심재철 원내대표, 민주통합의원모임 유성엽 원내대표가 21대 총선 직전인 2020년 3월 4일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선거구획정안관련 3당 원내대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2대 총선을 1년 4개월 정도 앞둔 부산 정치권에 ‘특명’이 떨어졌다. 여야 현역 의원들이 정치력을 최대한 발휘해 현재의 부산 지역구 수(18석)를 그대로 사수하라는 것이다. 선거구 조정 여부가 현역과 신인들의 정치적 명운을 결정할 차기 부산 총선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22대 총선의 선거구 획정 기준일(내년 1월 31일)이 다가오면서 부산 정치권의 관심은 전체 지역구 수 유지와 선거구 조정 여부에 집중돼 있다. 선거구 조정은 부산 전체 총선 판도는 물론 출마 예정자들의 거취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1차 관심은 총 18석의 부산 지역구 수를 유지할 수 있느냐 여부다. 3년 전 획정 기준일(2019년 1월 31일)에 비해 한국 인구(11월 말 기준)가 37만 5458명이 줄어들어 전체 지역구 수(253석)는 그다지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21대 총선 당시의 인구 기준(하한 13만 9000명-상한 27만 8000명)도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권역별 선거구 수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3년 전보다 인구가 50만 명 정도 증가한 인천·경기 지역은 지역구가 5~6개 늘어날 가능성이 높고, 33만 명이 줄어든 서울(49석)은 소폭 감소가 예상된다. 관건은 각각 11만 8000명과 9만 5000명이 줄어든 부산과 대구(12개)의 지역구 조정이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비대화를 막기 위해선 비수도권의 중심지인 부산과 대구 의석 수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산의 경우 내부 조정으로 전체 선거구 수 유지가 가능하다. 지난 총선 때 27만 9470명으로 상한선을 겨우 넘겨 2개로 분구됐던 남구는 이번엔 인구가 25만 6647명으로 대폭 줄어 선거구 합구가 불가피해졌다. 부산의 모 의원도 “남구 합구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라고 소개했다. 당초 분구가 예상됐던 동래(27만 3447명)는 남은 50여 일 사이에 5000명 가까이 인구가 증가하지 않는 한 기존의 1개 선거구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 상태로 선거구 조정이 끝나면 부산은 1개의 지역구가 줄어든다.

방법은 있다. 3년 새 인구가 2만 명 가까이 늘어 하한선을 5000명 정도 넘긴 강서구(14만 3360명)를 독립 선거구로 만들고, 인구 상한을 초과한 북구(27만 9303명)를 2개 지역구로 분구하면 부산의 전체 의석 수를 고수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부산 현역들이 본격적으로 정치력을 발휘할 때”라고 말한다.

선거구 조정 문제는 총선 출마자 정치 생명과 직결돼 있다. 합구가 유력한 남구에선 부산 남을 현역인 박재호(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남갑 현역인 박수영(국민의힘) 의원이 맞붙는 상황도 예상된다. 동래구가 단일 선거구로 유지된다면 친윤(친윤석열) 핵심인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복귀할 가능성이 있어 현역인 김희곤 의원 간 공천 경쟁이 펼쳐질 수 있다.

강서구가 독립되고 북구가 분구될 경우 변성완 전 부산시장 권한대행과 정명희 전 북구청장의 거취가 주목된다. 변 전 대행이 분구되는 북구로 옮길 확률이 높지만 강서구를 고집한다면 정 전 청장이 전재수 의원과 함께 북구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쪽에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이외에 별다른 후보가 아직 보이지 않는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