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G대, ‘젊은이의 도시’ 부산 대전환 계기 돼야
시, 올해 121개 사업에 2233억 원 투입
청년층 부산 유출 막는 제동 역할 기대
청년들의 지역 이탈로 고심 중인 부산시가 25일 ‘젊은이의 도시, 부산’으로의 대전환을 위해 ‘2023년도 청년G대 구축 계획’을 내놨다. 부산시의 청년정책 브랜드인 ‘청년G대’로 요약되는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위해 시는 올해 일자리·생활·활동·거버넌스의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121개 사업에 모두 223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좋은 일자리 부족과 주거 여건 불안정 등으로 갈수록 지역을 떠나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 데 대한 시 차원의 정책적 대응이다. 새해 초입부터 지자체가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기 위해 선제적으로 적극적인 유치·지원 대책을 내놨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올해 청년G대 구축 계획은 아무래도 일자리와 주거 지원이 핵심이다.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중요한 계기가 바로 일자리와 주거 문제 때문임은 많은 조사를 통해 익히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시도 일자리(Good job) 분야에 연봉 2400만~ 2800만 원 수준의 기업을 최대 430개 사로 확대해 청년 희망연봉 따라잡기를 실시하고, 2년 정규직 일자리 증가에도 주안점을 뒀다. 주거·생활(Good life) 분야에선 작년 9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부산청년기쁨두배통장’에 올해도 다시 4000여 명을 새로 모집한다. 문화·활동과 참여·권리 분야에도 다양한 지원이 있는 만큼 충실한 홍보로 많은 청년이 활용하도록 해야 하겠다.
시가 이처럼 연초부터 청년들의 부산 정착에 정책 드라이브를 거는 것은 최근 사회경제적 여건이 청년들에게 더욱 녹록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벗어나자마자 고물가로 대표되는 ‘경제 3고 현상’은 특히 청년들의 일자리와 주거 문제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여기다 취약한 산업 기반으로 인한 청년들의 심화하는 부산 유출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부산에 살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어 떠난다는 청년들의 외침을 들을 때마다 지역사회는 자괴감에 빠진다. 이런 때에 시가 내놓은 청년G대 구축 계획은 청년들의 부산 유출 흐름에 확실한 제동을 걸고,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역할을 해 줘야 한다.
국·시비를 포함해 많은 재원이 투입되는 만큼 청년G대 구축 계획이 기대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부산시의 체계적이고 빈틈없는 운용이 매우 중요하다. 계획만 덥석 발표한다고 청년들이 저절로 부산에 정착하는 것은 아닐 터다. 시의 청년정책 심의 기구인 청년조정위원회를 활용해 중간 점검을 하고, 미비점을 보완·수정해 나가면서 정책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그래야 민간 영역에도 청년층 지원의 정책적 메시지가 확산할 수 있다. 최소한 이번 계획이 젊은이의 도시 부산을 위한 대반전의 계기는 돼야 한다. 그렇게만 되면 청년들 사이에 “부산청년이라 좋다”는 평가를 듣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