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희와 함께 읽는 우리 시대 문화풍경] 그대의 차가운 손을 마주잡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대 대학원 예술·문화와 영상매체협동과정 강사

오페라 ‘라 보엠’ 공연 장면. 부산일보DB 오페라 ‘라 보엠’ 공연 장면. 부산일보DB

시린 손을 불어가며 바느질하는 겨울밤, 그만 촛불이 꺼져버린다. 불을 얻으려 다락방 문을 두드리자 시인 로돌포가 미미를 맞이한다. 창백한 얼굴에 가쁜 숨을 몰아쉬는 이 여자, 병색이 완연하다. 운명의 장난일까. 열쇠를 찾는 사이 촛불이 모두 꺼지고, 로돌포는 가만히 그녀의 손을 잡으며 ‘그대의 차가운 손’을 노래한다. “그대의 차디찬 손, 내가 녹여 드리지요. 어둠 속에 열쇠를 찾을 수 없으니, 달빛이 드리우거든 다시 찾아봅시다.” 병약하고 가난한 두 연인의 사랑은 약은커녕 땔감과 음식조차 살 수 없는 현실에 처절하게 무너지고 만다. 푸치니 오페라 ‘라 보엠’은 미미의 비통한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미미가 앓던 병은 폐결핵이다. 온몸이 검게 썩으며 처참하게 죽어가는 흑사병과 달리, 낯빛이 하얘지며 파리하게 시들어가는 까닭에 백색 페스트라 불렀다.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에서 백옥처럼 흰 피부와 살짝 기울어진 어깨로부터 이 병의 징후를 읽어내기도 한다. 모델로 알려진 시모네타 베스푸치가 폐결핵으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예술작품에서 폐결핵을 아름답게 그린 사례는 드물지 않다. 선혈을 토하면서 핏기 없이 말라가는 모습을 예찬했다니 생뚱맞다. 때로 객혈은 예술적 낭만과 천재성을 상징하기도 했다. 쇼팽과 칸트, 나도향과 이상도 악보와 건반, 원고지를 피로 물들이며 처연하게 생을 마감하지 않았던가.

결핵은 오래된 질병이다. 소를 가축화하고 낙농제품을 소비하면서 사람에게 옮겨온 우형(牛型)결핵균은 선석기시대 유골이나 고대 이집트 미라에서도 발견된다. 우형결핵균이 척추에 자리를 잡았다면, 인형(人型)결핵균은 인간의 폐에 산다. 기침이나 접촉으로 빠르게 전파되는데도 산업혁명 이전에는 팬데믹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근대는 결핵균이 성장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했다. 공장과 주거시설은 환기가 불량한 데다 각종 공해물질이 넘쳐났으며, 만성적인 영양실조는 질병에 대한 저항을 무디게 했다. 크리스마스이브에도 멈출 수 없었던 미미의 삯바느질이나 로돌포의 낡은 다락방은 이 시대 고단했던 도시하층민의 삶을 상징한다.

몇 년째 삶을 답답하게 옥죄던 마스크를 벗게 되니 감회가 새롭다. 과거로의 단순한 회귀이거나 일상의 회복이 아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초래한 공포가 증오나 혐오로 이어지고, 고립된 상황 속에서 인간 존엄성과 도덕규범이 무너지는 모습을 쉽게 목도하지 않았던가. 새로 등장하거나 부활한 질병은 언제라도 더 끔찍한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 마스크 너머 새로운 세상은 어떻게 오는가. 맨손으로 엄동설한을 살아내는 우리 곁 숱한 미미들의 차가운 손을 따뜻하게 맞잡고 함께 녹이는 일, 팬데믹이 드리운 어둠을 걷어내는 달빛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