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달의 뒤태는?…다누리, 국내최초 달 뒷면 촬영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고해상도카메라로 달 뒷면 지형 촬영해 공개…다른 탑재체도 정상 작동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슈뢰딩거 계곡(영상폭 50km).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슈뢰딩거 계곡(영상폭 50km).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달 궤도선 '다누리'가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생생한 지형을 국내 최초로 촬영해 보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다누리는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로 지난 3월 22일 달 뒷면 대형 크레이터(충돌구)인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한데 이어 3월 24일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했다.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달 뒷면을 촬영한 사진이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지난 3월 24일에 촬영한 사진들은 다누리가 달 궤도를 1000회 공전한 날에 찍은 사진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는 지름 180km 크기로 중간에 바닥부터 3200m 이상 솟은 봉우리가 특징이다. 러시아 루나 3호가 처음 발견해 로켓 이론 선구자인 러시아 우주비행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붙였다.

다누리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달 지표면 충돌구부터 충돌구 속 우뚝 솟은 봉우리 등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보인다.

슈뢰딩거 계곡은 길이 320km, 폭 8~10km 계곡으로 슈뢰딩거 충돌구가 만들어질 때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충돌하면서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이다.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는 달 뒷면 북위 31도 부근 지름 23km 분화구로 주변 테두리가 후속 충격으로 모양이 변형된 형태를 띤다.

이번에 촬영한 영상은 향후 달 지표 구성 성분이나 충돌구 내 봉우리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영상 폭 55km).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영상 폭 55km).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 광시야편광카메라로 촬영한 비흐만 크레이터.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 광시야편광카메라로 촬영한 비흐만 크레이터.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은 다누리에 탑재된 광시야편광카메라로 비흐만 크레이터를 촬영한 영상도 공개했다. 이 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과 입자크기, 조성에 따라 빛 반사 특성이 다른 것을 이용해 표토입자 크기와 조성을 알아내는 장비다.

이번 촬영 영상에서 파장과 편광 필터 종류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걸 확인해 향후 달 표면 입자와 조성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누리에 탑재된 자기장측정기와 감마선분광기도 정상적으로 관측 데이터를 얻고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자기장측정기는 지난 2월 4일 달이 지구 자기장 영향권에 들어갈 때 자기장 세기 변화를 측정했고, 감마선분광기는 달 표면 특정 에너지준위 감마선을 방출하는 원소 존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탑재체들의 달 관측자료를 활용한 달 과학연구성과는 내년 1월부터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고해상도카메라 촬영영상과 세계 첫 달 전면 편광지도, 자기장 분석자료와 달 표면 감마선 스펙트럼 자료 등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다누리가 임무를 수행하면서 촬영한 영상은 다누리 홈페이지(www.kari.re.kr/kplo)에 공개된다. 홈페이지에서는 달 궤도 위 다누리 실시간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