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낙수 효과’로 안전 문화 형성하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류만형 안전보건공단 부산광역본부 부장

‘이 시름 잊자 하니 마음에 맺혀 있어 골수에 사무치니, 편작이 열이 온들 이 병을 어찌하리. 아, 내 병이야 이 님의 탓이로다’. 잘 알려진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 중 한 구절이다. 편작이 열이라도 임이 그리워 마음에 든 병은 고치지 못한다고 노래한다. 예나 지금이나 명의(名醫)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편작(扁鵲)은 전국시대의 의사로 만 백성의 사랑과 더불어 ‘죽은 사람도 살려 낸다”라고 할 정도로 칭송을 받았던 인물이다. 그에게는 위로 두 형이 있었는데 모두 의사였다고 한다.

위문왕이 편작에게 “당신의 형제 세 사람 가운데 누가 가장 의술이 뛰어난가?”라고 물었다. 편작이 말하길 “큰 형님이 가장 뛰어나고, 둘째 형님이 그 다음이며, 제가 가장 보잘것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또 위문왕이 묻기를 “그 까닭을 들을 수 있는가?” 하니, 편작이 말하기를 “큰 형님은 환자가 아픔을 느끼고 병이 생기기 전에 얼굴 빛만 보고 병의 원인을 없애주었기 때문에 명성이 집안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둘째 형님은 병세가 미약할 때에 미리 치료해 줍니다. 그러므로 명성이 동네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저와 같은 사람은 병이 깊어진 다음 혈맥에 침을 놓고 독한 약을 쓰며 살갗을 갈라 치료를 하는 것을 보고 큰 병을 고쳤다고 믿게 되니 명성이 제후들에게까지 나게 된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큰 형님은 병의 증세가 나타나기도 전에 뿌리를 뽑아 버리니, 사람들은 아프지도 않은 상태에서 치료를 받아 자신이 얼마나 큰 고통을 겪었을지도 미처 몰랐을 것이다. 둘째 형님은 증세가 미미한 상태에서 병을 알아보고 이를 치료해 중병이 되는 걸 막았기에, 사람들은 이 병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미처 하지 못했다. 그렇기에 그들의 명성은 외부로 전해질 수가 없었다. 반면, 편작은 병이 커져 큰 병이 되어서야 극한 방법으로 고쳐내니 그의 명성이 천하에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진정한 명의는 편작의 말처럼 병이 커지기 전에 미리미리 예방하고 치료해서 큰 병이 되지 않도록 한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 사회에는 ‘설마’라는 안이한 생각과 ‘빨리빨리’라는 고질적인 풍조 등 사회 전반에 안전 불감증이 만연해 있다. 우리 사회는 아직 사후 처리에만 급급할 뿐 재해 예방의 중요성은 쉽게 잊는다. 최근 부산 사상구에서는 ‘최고의 안전도시 사상, 구민의 생명 보호와 안전을 책임지겠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안전도시 사상 선포식을 열었다. 또한 안전보건공단 부산광역본부에서는 고용노동부 부산청과 함께 안전문화 실천 추진단 발대식을 공동으로 개최했다. 노·사·민·정이 하나가 돼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해 시민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요청한 발대식 이후 문의를 많이 받고 있다. 안전에 대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안전의 ‘낙수 효과’를 기대해 본다. 대기업에서 안전 투자를 증대하면 중소기업과 영세 사업장에게도 그 혜택이 돌아감은 물론, 결국은 국가 경제가 활성화되고 국민 복지가 향상돼 우리 모두가 안전한 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는 안전 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