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가 아파도 치료 권리 박탈당한 장애인…공공의료체계 구축 요구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부산경남지부와 부산뇌성마비장애인부모회 등이 지난 4월 19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립장애인치과병원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부산경남지부와 부산뇌성마비장애인부모회 등이 지난 4월 19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립장애인치과병원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중증장애인이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이 부족해 이들의 건강권이 침해받는다는 지적(부산일보 4월 20일 자 3면 보도)이 잇따르자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장애인도 아프면 제때 구강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부산시가 공공의료시설 확충과 효율적인 구강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모였다.

11일 부산시의회에서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이종진 위원장 주최로 ‘장애인 구강진료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장애인과 가족, 부산시의회 안성민 의장, 이종진 부산시의원, 부산시치과의사회, 시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는 부산지역 장애인 구강진료 현실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모이면서 개최됐다. 부산에서 중증장애인이 구강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 환경은 열악해 이들의 건강권은 위협받고 있다. 중증장애인 치과 진료가 가능한 부산지역 병원은 부산대병원 부산장애인구강진료센터, 부산의료원, 후원회비로 운영되는 민간봉사시설 ‘나눔과 열림 치과병원’ 등 3곳이다.

이종진 시의원에 따르면 부산장애인구강진료센터 이용환자 수는 지난해 6800명, 전신마취 환자 수는 약 690명에 달한다. 반면 의료인력은 치과전문의 3명, 마취과 겸임 3명 등 총 13명에 불과하다. 또 다른 공공의료기관인 부산의료원은 담당 의사가 한 명뿐이라 여건상 주 1회만 치료를 진행한다. 병원 내 보조 인력이 부족해 중증장애인들은 전신마취를 하려면 최소 3달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지난해 12월 부산시에 등록된 장애인은 모두 17만 6245명으로 이 중 마취가 필요하거나 보조인력이 필요한 치과 영역 중증장애인(지체·지적·뇌병변·자폐·정신·뇌전증)은 11만 8624명인 것을 감안하면 관련 병원과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이들은 부산시가 공공의료 확충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부산뇌병변복지관 이주은 관장은 “인지가 되고 협조가 이뤄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중증장애인임에도 민간 치과병원에서는 장애인치과병원을 가보라며 진료를 거부하는 곳이 많다”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의료기관의 인력 확충, 시의 지원과 함께 독립적인 장애인치과병원설립이 필수”라고 말했다.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부산경남지부 김권수 공동대표는 “부산시가 책임을 지고 장애인구강진료체계 컨트롤타워 역할 수행과 공공의료체계 확충에 나서는 것이 진정성 있는 대책”이라고 말했다.

이종진 시의원은 △부산시 차원 장애인 치아건강관리 실태조사 △부산의료원 장애인 치과진료 주 5회로 운영 △치과 의료진 대상으로 장애인 구강진료 교육 지원 △구강진료센터와 지역치과와의 협업 등을 제언했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