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저출생·고령화, 결국 일자리에 달렸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청년 성비 불균형이 인구 문제로
여성 살기 좋은 도시 돼야 해결

신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가 개최한 ‘찾아가는 설명회’. 신라대 제공 신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가 개최한 ‘찾아가는 설명회’. 신라대 제공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김영미 부위원장이 〈부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부산의 저출생·고령화 문제의 핵심이 ‘일자리’라고 단언했다. 동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지내면서 오랜 기간 부산의 인구 문제를 가까이서 들여다본 전문가의 말이기에 한층 무게감이 실린다. 물론 부산시의 ‘부산 인구 정책 브리핑’도 부산을 떠난 청년들이 꼽은 원인 중 70%가 일자리라고 이미 확인했다. ‘부산이 싫어서’가 아니라, ‘일자리가 없어서’ 청년들이 고향을 떠난다. 부산은 청년층이 떠나 결혼과 출생 숫자도 줄고, 도시 경쟁력과 활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에 빠져들고 말았다.

특히 지역의 청년 여성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현실은 더욱 우려스럽다. 부산에는 조선·자동차 등과 같은 여성을 잘 뽑지 않고, 여성들도 잘 가지 않으려는 업종의 일자리만 많은 게 사실이다. 코로나 팬데믹 직후 부산 여성들의 일자리 감소 수치는 그야말로 충격적이었다. 통계청의 2020년과 2021년 1분기 자료를 비교한 결과, 줄어든 부산의 취업자 3만 3000명 가운데 여성이 2만 9000명에 달했다. 1년 새 부산의 여성 취업자가 90% 가까이 증발했다는 것이다. 코로나를 겪으면서 여성 비중이 높았던 대면 산업마저 크게 약화되고 말았으니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결혼과 출생은 남성과 여성 만남의 결실인데, 지역의 청년 세대 성비 불균형은 결국 인구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저출생·고령화는 해법을 찾기 힘든 부산의 최고 난제다. 김 부위원장이 이 문제를 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제시하는 대목이 인상적이다. 그는 “교육부가 대학의 권한을 지자체로 넘기면서 중요한 실험을 할 수 있게 됐다. 청년이 떠나지 않는 산업 구조로 바꾸고, 산학연 연계도 더 활성화가 되면 가장 성과가 날 수 있는 도시가 부산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글로컬 대학’ 등의 정책으로 인해 지자체가 지역의 산업에 맞는 필요한 인재 양성을 할 수 있게 된 게 사실이다.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가 적극 밀어줄 테니, 인구문제에 직면한 부산이 선도적인 정책을 펼쳐 달라고 주문했다.

여성 고용 활성화는 결국 부산의 산업구조 재편과도 관련된 문제다. 숙박·요식업, 교육서비스업, 도소매업 등 전통적인 대면 관련 산업으로는 청년 여성 인력을 새롭게 흡수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지금 부산은 오랜 침체를 벗어날 절호의 기회를 맞고 있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잘 준비하면서, 가덕신공항까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게다가 한국산업은행 부산 이전으로 신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여성 일자리도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의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전국에서 상당히 낮은 편이라니 이런 부분에 대한 개선도 필요하다. 여성이 살기 좋은 도시가 되어야 부산의 오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