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 투자 하기 위험해”… 중국 “미 기업 남고 싶어해”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방중 미 상무장관 작심 발언에
중 “미 기업 90% 수익 내는 중”
양국 무역관계 훨씬 강력 분석도
미 대체 공급망도 중에 간접 의존

지나 러몬도(왼쪽) 미국 상무부 장관이 30일 중국 상하이에서 천지닝 상하이시 당 서기와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나 러몬도(왼쪽) 미국 상무부 장관이 30일 중국 상하이에서 천지닝 상하이시 당 서기와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을 방문 중인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기업들로부터 중국이 너무 위험해져서 투자가 불가능하다는 말을 점점 더 많이 듣고 있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 미국 언론이 2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러몬도 장관은 이날 베이징에서 상하이로 이동하는 열차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응하기에 익숙한 전통적인 우려가 있고 완전히 새로운 우려도 있는데 이 모든 것이 합쳐져 기업들은 중국이 투자하기에는 너무 위험하다고 느끼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 그 이유로 “아무 설명이 없는 엄청난 벌금, 불분명하고 미국 사회에 충격을 준 방첩법 개정, 기업에 대한 압수수색은 우리가 대응해야 하는 완전히 새로운 수준의 도전”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은 불확실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만든다”면서 “그래서 기업들이 다른 기회나 다른 국가, 갈 수 있는 다른 곳 등을 찾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러몬도 장관의 ‘투자 불가’ 발언은 방중 기간에 한 말 중 가장 직설적인 것이어서 중국의 반발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러몬도 장관은 또 중국 측에 인텔, 마이크론, 보잉 등 미국 기업과 관련한 구체적인 문제를 제기했으나 답변받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러몬도 장관은 미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대한 중국의 제재에 대해 “근거가 없으며 적법한 절차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면서 “미국의 수출 통제는 명확하고 투명하다”고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 또 중국의 요구는 군사적 사용 가능성이 있는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를 줄이고 미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제한 조치를 철회하라는 것이었다고 전한 뒤 “나는 물론 ‘노(No)’라고 했다”면서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해서는 협상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러몬도 장관의 ‘위험’ 발언에 대해 중국 당국은 즉각 대응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주미 중국대사관 류평위 대변인은 이날 러몬도 장관의 언급에 대한 논평 요구를 받자 “중국 정부는 외국 기업에 대한 시장 접근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 대변인은 “중국에서 영업 중인 7만여 개의 미국 기업은 중국에서 계속 사업을 하길 원하고 있고 이들 기업의 90%는 수익을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내에서는 공장들이 중국을 떠나더라도 미중 무역관계는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강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중국제품이 다른 나라를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면서 두 나라가 여전히 깊게 얽혀 있다는 증거가 점점 늘고 있고 공급망 변경이 얼마나 어려운 시도인지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공장들이 중국을 떠날 수는 있지만 양국 무역 관계는 생각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NYT는 새로 나왔거나 나올 보고서들이 미국이 실제로 중국 의존도를 줄였는지, 또는 최근 무역관계 개편이 세계 경제와 미국 소비자에게 의미하는 것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주말 잭슨홀 미팅에서 논의된 새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무역 패턴이 재편되는 동안 미국 공급망은 직접적으로는 아니더라도 여전히 중국 생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경제학자 로라 알파로와 다트머스대 터크 경영대학원의 다빈 초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수입 중 중국 비중이 2017년 약 22%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 약 17%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반면, 베트남과 같은 국가는 미국에 더 많은 의류와 직물을 공급했고, 멕시코와 같은 이웃 국가는 더 많은 자동차 부품, 유리, 철강을 보내기 시작했다.

보고서는 이것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는 신호로 보이지만 허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멕시코와 베트남 모두 중국에서 더 수입하고 있고, 이들 국가에 대한 중국의 직접투자가 급증해 결국 중국이 그곳에 더 많은 공장을 설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